종병급 이상 의료기관 중에서 국산 의료기기만을 사용하는 의료기관은 12.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산 의료기기만을 사용하는 의료기관은 62.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산업진흥원이 최근 발행한 보건산업브리프에 따르면 국산만 사용하는 의료기관은 12.4%, 외산만 사용하는 병원은 62.4%로 나타났다. 국산/외산 모두 사용하는 병원은 25.2%이었다.
이번 의료기관의 국산/외산 장비 사용 현황 분석은 100개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 중에서 16개 의료장비 전체를 기준으로 분석됐다.
의료장비별로 보면 의료용영상처리용장치·소프트웨어 국산제품을 사용하는 의료기관의 비율은 71.1%(국산만 사용 59.8%)였고, 의료용멸균기 69.0%(26.0%), 의료용원심분리기 68.3%(17.3%)로 나타난 반면, 자기공명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외산제품만 사용하는 의료기관의 비율은 97.8%에 달했고, 인공호흡기 93.9%, 심장충격기 93.8%였다.
국산/외산 제품 모두 사용하고 있는 장비는 의료용원심분리기(51.0%), 환자감시장치(47.0%), 의료용멸균기(43.0%)로 나타났다.
공공종합병원과 민간종합병원의 국산/외산 의료장비 사용 현황에서는 19개 공공종합병원 중 국산만 사용하는 의료기관의 비율은 8.2%였고, 국산/외산 모두 사용하는 비율도 24.7%로 나타났다.
의료용영상처리용장치·소프트웨어 국산제품을 사용하는 공공종합병원의 비율은 84.2%(국산만 사용 63.2%)이며, 의료용멸균기 73.7%(31.6%), 의료용원심분리기 68.2%(10.5%)의 순이었고, 엑스선투시촬영장치, 자기공명전산화단층촬영장치, 인공호흡기는 외산제품만 사용했다.
민간종합병원(81개)에서 국산만 사용하는 비율은 13.4%, 국/외산 모두 사용은 25.3%, 외산만 사용하는 비율은 61.3%로 나타났고, 병원 유형별(공공/민간종합병원)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상규모별 국산 장비 사용현황을 보면 300병상 이하에서 국산만 사용하는 의료기관은 23.0%, 300~499병상 14.4%, 500병상 이상 4.3%로 나타났으며, 500병상 이상 의료기관에서 외산만 있는 의료기관은 32.9%로 국산(4.3%)만 사용하는 기관보다 많았다.
병상규모와 외산장비 사용은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6개 의료장비 전체를 대상으로 병상규모와 국산/외산 제품 사용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제시된 의료장비 중 외산만을 사용하는 의료기관 대상으로 국산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제품의 성능이 떨어짐(잦은 고장, 낮은 정확도)’이 36.6%로 가장 많았다. 이어 ‘브랜드가 신뢰가 가지 않음’(15.3%), ‘사용할 기회나 사용 경험이 없음’(15.1%)등의 순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제품 성능 문제에 의한 브랜드 신뢰도나 사용경험 부족 등으로 인해 국산 제품의 사용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국산 및 외산 의료장비에 대한 사용 만족도와 관련해서는 사용 의료장비에 대해 대부분의 의료기관은 만족(84.5%)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만족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국산장비와 외산장비의 사용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료용영상처리용장치·소프트웨어는 국산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 국산과 외산의 사용만족도는 t검정 결과 의료용영상처리용장치·소프트웨어를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의 국산제품 미사용 이유는 제품성능 미흡, 브랜드 신뢰도 부족, 사용기회 및 경험 없음 등이나 실제 만족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의료장비 구매 실태와 관련해서는 대상 의료기관(N=100)이 의료기기 구입시 가장 중요한 고려요인은 ‘제품의 성능’(32.3%)이었고 다음으로 가격‘(23.2%)을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의료기기 구매결정에서 가장 영향력이 높은 주체는 최고 경영층인 병원장(47.6%)이었으며, 의료장비 심의위원회(38.2%), 사용 부서책임자(11.6%) 등 순으로 나타나 여전히 경영자에 따라 결정되는 양상을 보여 국산장비 사용의 활성화를 위해서 우수한 국산 제품에 대해서 병원 경영자들의 인식이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국산제품의 성능 개선 등 경쟁력강화 노력과 의료기관의 인식 전환을 위한 마케팅 전략 등도 필요하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