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뼈가 약해지는 ‘골다공증’환자 연평균 10%씩 증가

70세 이상 진료인원 75.2% 증가…여성 환자 90% 넘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7~2011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골다공증(M80~M82)’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이 2007년 53만5천명에서 2011년 77만3천명으로 약 23만7천명이 증가(44.3%)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증가율은 9.7%.

총진료비는 2007년 535억원에서 2011년 722억원으로 5년간 약 187억원이 증가(35.0%)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7.9%로 나타났다.

성별로 골다공증 진료인원을 분석해 본 결과 남성 진료인원의 점유율이 약 6.4~7.5%인데 반해 여성 진료인원의 점유율은 약 92.5~93.6%로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을 기준으로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 진료인원에 비해 12.3배가 많았으며, 연도별 증가율은 남성 진료인원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진료인원의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1년을 기준으로 70대 이상이 37.0%로 가장 높았고, 60대 34.4%, 50대 22.3%로 50대 이상의 장·노년층에서 93.7%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근 5년간 30대 이하에서는 큰 변동 없이 약 1%내외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40대의 진료인원은 8%에서 4.8%로 점차 감소해 점유율이 낮아졌다.

고령인구가 급증하면서 2007년에 비해 2011년에는 50대 이상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70대 이상에서는 75.2%가 증가해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골다공증은 ‘뼈의 양이 감소하고 질적인 변화로 인해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의 위험이 증가되는 질환’으로 신체의 모든 부위에서 골절이 일어날 수 있지만 특히 손목, 척추, 고관절에서 자주 발생한다.

낮은 골밀도의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인, 일부 스테로이드 약제, 흡연, 알코올, 류마티스 관절염 등이 알려져 있으며 가장 큰 원인은 골격계의 노화현상이다. 뼈의 노화는 50대 이후 급격히 진행되므로 고연령일수록 골다공증 발병 위험이 높고, 여성의 경우 폐경이후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골격계의 노화현상이 남성보다 훨씬 빨리 진행된다.

골다공증 환자가 대부분 노인임을 고려해 볼 때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욕실, 화장실의 미끄러운 바닥 및 책상 모서리 등의 물건)에서 발생하는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체중부하 운동이나 육체적 활동을 통해 골밀도를 높게 유지하려는 생활습관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