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대한의사협회장에 노환규 후보가 선출되자 의료계에서는 세대간·직역간 소통 통해 의사 권익을 향상시키는 회장으로 거듭나기를 피력했다.
특히 의료분쟁조정법, 선택의원제, 포괄수가제 등 의료제도 개혁을 기대했다.
A 대학의 모 교수는 “산부인과 의사로서 의료분쟁조정법이나 포괄수가제, 초음파 급여화 등의 문제를 의협을 통해 정부와 협상 해야 하는데 강력한 이미지를 가진 분이 회장으로 선출돼 환영한다”면서 “새로운 회장과 함께 현안들을 해결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모 시도의사회장은 “세대간·직역간 잘 아울러 하나도 의협을 만들기를 기대한다”면서 “의사들이 살맛나는 세상을 만들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의 B 개원의는 “의협 역사상 가장 적극적이고 패기에 찬 젊은 회장이 선출됐다”면서 “힘 있고 강한 의협을 만들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다른 개원의도 “노환규 당선자가 의료계에서는 진보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만큼 국회와 관련 기관과의 협상에서 리드해 올바른 정책 방향을 설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노 당선자가 회무 경험이 전혀 없는데다 유관기관과의 불화 문제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이에 의료계에서는 조속히 의료계 화합을 주도하고 유관기관과의 친밀감 형성에 주력해야 한다고 환기시켰다.
C 개원의는 “회무 경험에 통달한 역대 회장들도 정부 상대로 협상할 때 쉽지 않았는데 노환규 당선자는 회무 경험이 전혀 없어 걱정스럽다”면서 “앞으로 1년 동안 시행착오를 겪겠지만 경륜 있는 사람을 포용해 잘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모 대학 교수는 “의사들이 존경 받기 위해서는 타 직종에 대해 존경하게끔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면서 “커다란 의미에서 현재의 익을 쫓기 보다는 앞을 내다 보고 일 처리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회원의 권익은 유관기관과의 소통, 정부와의 소통, 국민과의 소통을 통해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의 모 개원의는 “집행부 외부에서 볼 때와 내부에서 볼 때 일 처리 하는 것에 있어 많은 차이가 있다”면서 “일 처리시 쉽게 결정하지 못할 때는 차근차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일 처리하면서 뜻과 맞지 않는다고 무조건 배척하기 보다는 소통하고 화합해 하나된 의료계를 이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계 내 반목과 갈등을 경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모 시도의사회장은 “노 당선자는 그 동안 경만호 집행부와의 반목과 갈등이 있었다”면서 “노 당선자는 이를 유념해 의료계 내 갈등을 없애고 화합할 수 있는 방안을 빠른 시일 내에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