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을 앓는 중년 여성들이 급증하고 있다.
남성의 병으로 여겨졌던 고지혈증의 중년 여성 진료인원이 2005년 13만 명에서 2009년 28만 명으로 두 배 이상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질환에 대한 인지도와 검진률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가 3월 17일부터 5월 27일까지 전국 50개 병원에 내원한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가진 20~90대 환자 2782명(40~60대 중년 여성 1,2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중년 여성 중 20.1%만이 고지혈증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년 여성의 경우 10.6%만이 죽상동맥경화증에 대해, 10.2%, 9.8%만이 각각 고지혈증과 죽상동맥경화증, 고지혈증과 심혈관 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있어, 고지혈증이 죽상동맥경화증 혹은 사망으로 이를 수 있는 심혈관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상관관계와 각 질환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년 여성에 있어 질환에 대한 인지도뿐 아니라 검사율도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조사에 참여한 중년 여성 중 1년 내 고지혈증 검사를 받은 환자는 69.8%로 비교적 높았으나, 죽상동맥경화증 검사는 5%, 심혈관 질환 검사의 경우 3.4%에 그쳤다.
반면, 설문조사 후 고지혈증, 죽상동맥경화증, 심혈관질환 및 질환의 상관관계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 결과, 질환에 대한 인지도가 크게 증가해 치료에 앞서 환자교육이 필수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고지혈증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 간과하기 쉬운 만성질환으로 죽상동맥경화증, 심혈관 질환으로 발전해 돌연사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고지혈증이 중년 여성에게 위험한 이유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에스트로겐이 폐경기에 접어들면 분비량이 감소되고, 자연스레 고지혈증에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반준우 전무(내과 전문의, 의학박사)는 “고지혈증 환자에게는 고지혈증 치료뿐 아니라 죽상동맥경화증과 심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해 나쁜 콜레스테롤(LDL-C) 수치는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HDL-C) 수치는 높이는 콜레스테롤 밸런스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 전무는 “교육을 통해 질환에 대한 이해도가 확연히 올라간 것은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중년 여성을 비롯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료관계자들의 지속적인 교육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