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이 좋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병가를 내지 않고 계속 일하는 남성들은 심장 마비 발작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고 핀랜드 헬신키 직업 건강 연구소의 키비마키 (Mika Kivimaki)박사 연구진이 경고하고 있다.
이들 연구진은 35-55세 공무원으로 일하는 영국인 남성 5천 명을 대상으로 병가 및 병중에도 근무하는 경우와 위험한 심 혈관 질환 의 발병 율, 치명적인 및 치명적이지는 않은 심장 마비 발작 발생 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시작 시에 대상자들의 건강을 등급으로 나누었다. 즉, 아주 양호, 양호, 평균 및 악화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조사 3년 동안 이들의 결석 기록을 분석하고 최초의 심장 마비 발작 혹은 위독한 심 혈관 질환 기록을 검토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사람가운데 자신이 건강하지 못하다 고 판정한 경우 결석하지 않고 근무한 경우 심각한 심 혈관 질환 위험이 배로 증가하였다. 이는 심 혈관 위험 요인을 감안하고도 높게 나타난 것이다.
심각한 심 혈관 질환 사건이 결근하지 않은 건강치 못한 종업원이 약간의 질병으로 결근한 건강하지 못한 종업원에 비하여 2배 높게 발생하여 병중인데도 결근하지 않고 계속 일하는 경우 더 좋지 않은 후유증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남성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여성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자료: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January 2005.)
외신부(medienglish@medifonews.com)
2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