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과민성 장 증후군’ 의료비 연간 5854억원 소비

보건의료연, 위십이지장궤양 환자보다 삶의 질 낮아

스트레스를 받거나 신경을 쓰면 배가 아픈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연간 5854억원의 의료비가 쓰이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비교적 흔한 기능성 위장장애의 하나인 과민성 장 증후군의 사회경제적 부담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과민성 장 증후군은 일반적인 혈액검사나 장내시경 검사에 이상소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배가 아프거나 불쾌한 증상이 반복되고 설사나 변비 등의 배변장애가 생겨 불편을 겪게 되는 대표적인 만성 기능성 위장관 질환이다.

보의연이 2008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15세 이상 국민 중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람은 100명 중 6명꼴이었으며 이는 한 해 동안 병의원을 1회 이상 이용한 사람 중 6.8%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3회 이상 외래진료를 받거나 입원을 경험한 환자도 100명당 1.2명이었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1.4배 더 많고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이 앓고 있었다.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87.6%는 약을 처방받았고 이들이 처방받은 약의 수는 평균 5.5개였다.

이로 인한 의료비용도 무시 못 할 수치. 2008년 한 해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인한 의료비는 5854억원(5563억~6406억원)으로 추정됐다.
이중 보건의료서비스와 약국 비용 등을 합산한 의료비용이 3499억원, 교통비용이 903억원 등 직접비용이 4402억원이었고 의료이용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비용이 1452억 원이었다.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기기 등 비공식적 의료비용을 포함하면 7296억원 수준으로 추산됐다.

한편, 보의연이 지난해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 273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 평가도구인 EQ-5D를 측정한 결과 이들의 삶의 질 수준은 0.889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자료와 비교했을 때 치질(0.925), 아토피 피부염(0.924), 위십이지장궤양(0.901)보다도 낮은 수치다.

응답자의 6%는 지난 3개월간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직장에 3일 이상 나가지 못했으며 10.8%는 일을 하는데 상당한 지장을 받았다.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들의 진료만족도와 질환에 대한 정보만족도는 각각 5.8점, 6.1점이었으며 이는 기능성 질환에 대한 이해 부족과 정확한 정보 부재와 관련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책임자인 최명규 교수(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는 “과민성 장 증후군은 기능성 질환으로 그동안 다른 질환에 비해 사회경제적 부담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임이 밝혀졌다”며 “기능성 질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구체적인 방법으로 근거를 바탕으로 한 진단,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지침제정 및 교육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근거창출 연구가 필요함은 물론 환자에게도 질병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와 교육 등 올바른 정보 제공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