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나이들수록 상처 치유 안되는 이유 있네?

“세포벽에 있는 카베올린 단백질 증가가 원인”

나이가 들수록 상처 치유가 지연되는 의학적인 이유가 국내 의료진에 의해 밝혀졌다.

중앙대용산병원 김재찬 교수팀과 서울의대 박상철 교수팀은 ‘고령환자에서 카베올린(caveolin-1)에 의한 각막 상피 창상 치유의 지연효과’라는 공동 연구를 통해 노화가 진행될수록 세포벽에 존재하는 이 ‘카베올린(caveolin-1)’이라는 단백질이 증가해 상처 치유 조절 능력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우선 ‘카베올린(caveolin-1)’이 노화와 관련된 성장반응 억제를 위한 세포막 내 신호전달 물질로 밝혀진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라섹수술을 시행받은 고령환자군과 청장년층 환자군(20~30대, 40~50대, 60대 이상 등 연령대별 각각 20명) 총 60명의 각막 창상 회복 속도를 비교했다.

또 수술 중 채취된 각막 상피에서 노화 인자로서 Caveolin-1과 그 외 세포 성장주기 조절 단백질 유전자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결과, 나이가 들수록 각막 창상 치유 속도가 저하되었으며, 이와 비례하여 Caveolin-1의 발현이 증가해, 나이가 들수록 세포 내에도 Caveolin-1이 증가함과 동시에 상처 치유 조절 능력이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팀은 또한 각막 세포 배양 실험을 통해 Caveolin-1의 억제 또는 과발현에 의해 표피성장인자 EGF 수용체 신호의 조절이 가능해짐에 따라 나이가 들면서 Caveolin-1이 주름으로 잡혀 표피성장인자인 EGF 수용체가 숨겨지고, 이에 따라 세포의 분화와 증식이 일어나지 않아 세포의 성장이 방해를 받게 돼 창상 치유가 지연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관련,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안과 김재찬 교수는 “서 인체 내 노화에 따른 상처 치유 조절 인자로서 Caveolin-1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었다”며 “이 카베올린 조절을 통해 노화에 따르는 각막 상처 치유 지연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분자생물학지(Journal of Molecular Biology) 11월호에 표지 사진과 함께 주요 이슈로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