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성경험 연령 낮아진 한국 청소년, 피임 인식은 세계 꼴찌

아·태피임협의회, “청소년 보호 할 수 있는 피임교육 시급”

한국 청소년들의 첫 성경험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있지만, 피임에 대한 지식은 문외한 인 것으로 나타나 올바른 피임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오는 26일 세계피임의날을 맞아 아·피임협의회(APCOC)가 전세계 25개국의 15~24세 남녀 청소년 총 5,2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性)과 피임에 대한 인식과 행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한국 청소년 응답자는 전체 26%만이 피임법에 대해 알고 있었다.

이는 전세계 25개국 청소년들이 평균 51%가 피임법에 대해 숙지하고 있다는 조사결과에 비해 크게 낮은 수치이다.

이에 따르면 한국 청소년 응답자 중 43%는 ‘피임법의 종류나 나와 내 이성친구에게 적합한 피임법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고 답했다. 또 나머지 31%는 ‘피임법에 대해서 거의 아무것도 모른다’고해 피임을 준비해야 한다는 생각은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실천을 하고 있지는 못하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효과적인 피임법에 대한 질문에서도 한국 청소년 응답자 중 24%가 ‘질외사정’이라고 했으며 23%는 ‘생리기간 중 성관계를 하면 피임이 된다’는 등 피임법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진 경우가 많았다.

반면, 복용법을 지켜 복용할 경우 피임 효과가 99%에 달하는 피임법인 먹는 피임약에 대해서는 가장 효과적이라고 답한 한국 청소년은 47%에 불과했다.

한편, 피임을 하지 않은 이유로는 ‘성관계시 피임 도구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가 25%로 가장 많았고, ‘어떤 피임법이 있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잘 몰라서’라는 응답이 22%로 두 번째로 많았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성관계 경험이 있는 전세계 청소년 응답자 중 ‘어떤 피임법이 있는지 몰라서 피임을 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단지 4%에 불과해, 한국 청소년들의 실제적인 피임 인식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아태피임협의회(APCOC)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임순 교수는 “이번 설문 조사는 한국의 10대 청소년들이성에 대한 개방은 이미 선진국 수준을 넘어섰지만 그에 대한 피임 교육은 여전히 미비한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며 “청소년들이 올바른 피임 인식을 확립하고 제대로 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실질적인 성교육과 피임교육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