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캡사이신(capsaicin) 성분이 암 발생을 촉진 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국대 특성화 학부 생명공학과 이기원 교수는 6일 서울대 이형주 교수, 미네소타대 Ann M. Bode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고추의 매운 성분이자 진통제로 이용되어온 캡사이신이 화학적 발암물질에 의해 유도된 피부암 발생을 촉진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미국 암 학회 발간 ‘암 연구 (Cancer Research)’ 9월호 표지 논문 (Cover Article)으로 게재했다.
캡사이신이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항암활성을 나타낸다고 학계에 보고되기도 했으나, 장기간 정상세포에 처치했을 경우 암 발생을 촉진하는지 여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
그러나 일부 역학조사 및 동물실험에서는 캡사이신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염증 및 자극을 유발시키는 물질로도 알려져 위험성이 부각되기도 했다.
이 교수팀은 쥐 실험을 통해 캡사이신이 진통성분을 갖게 될 때 결합하는 수용체 단백질인 TRPV1 아닌, 암 유발 단백질인 EGFR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피부암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TRPV1 유전자가 결핍된 마우스를 이용해 규명했다.
또 캡사이신에 의해 활성화된 단백질(EGFR)이 cyclooxygenase-2라는 염증과 암 발생에 중요한 원인 단백질을 과발현시켜 암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즉, 캡사이신은 TRPV1이라는 수용체를 통해 진통제로 이용되어 왔으나, EGFR이라는 다른 표적 단백질을 통해 오히려 암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 낸 것이다.
교수팀은 그러나, 캡사이신만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는 TRPV1이 존재하거나 결핍된 마우스 모두에서 암 발생을 유발하지 않았으므로, 이는 캡사이신 자체가 암 유발물질이라고 보기는 힘들고, 암 발생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천연물 유래 성분이 특정 질병에 있어서 각기 다른 표적을 가지고, 이에 따라 기능이 달라진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각 개인의 필요에 따른 질환맞춤형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게 되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