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신개념 암치료제 개발 가능성 국내서 열었다

서울의대 윤홍덕 교수팀, 암억제자 조절 메커니즘 규명


신개념의 암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생화학교실 윤홍덕 교수팀이 암억제자 p53을 조절하는 새로운 후성유전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해 시선을 모은다.

연구팀은 대다수 암 발생과정에 관여하는 암억제자 p53의 활성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한 결과, DNA 손상 복구를 총지휘하는 불활성화된 p53이 그 손상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유전자 주변 크로마틴(DNA가 단백질에 실처럼 감겨있는 복합체) 상에 미리 준비돼 있고, 그 과정에서 ‘캐빈1(Cabin1)’ 단백질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을 밝혔다.

암억제자 p53은 DNA 손상 복구를 총지휘하는 단백질로, 대부분의 암세포에서는 그 기능이 저하돼 있다.
p53은 현존하는 유전자 중에서 암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평상시 크로마틴 상에서 p53의 조절 메커니즘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다.

윤홍덕 교수는 지난 10여 년 동안 캐빈1(Cabin1)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하는데 심혈을 기울여 왔고, Science, Immunity, EMBO J 등 국제적인 과학저널에 다수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캐빈1’ 단백질 기능에 대한 심화연구 과정에서, ‘캐빈1’ 유전자 발현이 감소된 생쥐 배아줄기세포(mouse embryonic stem cell)와 암세포를 이용해 ‘캐빈1’이 크로마틴 상에서 p53 활성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캐빈1’이 p53 활성 억제 기능을 갖는 이유는 ‘캐빈1’이 p53의 타겟 유전자 프로모터(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DNA 위치) 위에 p53과 같이 결합해 주변 크로마틴 구조를 유전자 발현에 부적합하게 바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팀은 ‘캐빈1’ 단백질이 평상시에는 암 억제자 p53과 결합해 p53의 기능을 억제하지만, DNA 손상 조건에서는 신속하게 분해돼 p53을 자유롭게 풀어줘 오히려 p53의 전사활성 반응을 도와주는 기능을 가졌음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윤홍덕 교수는 “이번 연구는 크로마틴 상에서 p53의 후성유전학적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한 것으로, 논문 심사자들로부터 종양억제와 관련된 p53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항암제 개발 과정에서 새로운 후성유전학적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 결과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과학저널인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지(Nature Structural & Molecular Biology)‘ 8월10일자에 게재된다.

<용어>
△암 억제자(tumor suppressor)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하지 않게 보호하는 유전자. 이 유전자가 돌연변이, 손실 등으로 그 기능이 저하되면 암세포가 형성될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암 억제자 중에서 가장 많은 암세포에서 기능이 저하돼 있는 유전자는 p53이다.

△DNA 손상(DNA damage)
=세포내에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활성산소, 자외선, 화학물질 등에 의해 끊임없이 손상된다. 사람의 경우 한 세포당 하루 백만 개 정도의 분자에 손상이 일어난다는 보고가 있다. DNA 손상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노화, 세포사멸, 암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세포내에는 이런 DNA 손상에 대처해 빠르게 DNA를 복구시키는 다양한 분자 메커니즘이 존재한다.

△후성유전학(에피제네틱스, epigenetics)
=DNA 염기서열의 변화가 생기지 않으면서 유전자의 조절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 예를 들어, 만능줄기세포가 분화해서 근육세포로 변하는 과정에서 DNA 염기서열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유전암호와는 무관한 후성유전학적 변화에 의해 두 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의 종류와 양, 그리고 그로 인한 표현형에는 큰 차이가 생긴다. 잘 알려진 후성유전학적 변화에는 DNA의 화학적 변형(메틸화), 관련 유전자 부위의 염색질 리모델링 (chromatin remodeling)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