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이상 노인의 사망원인이 거주지역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원광대 보건복지학부 김종인 교수팀은 2002년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60세 이상 노인의 사망원인에 대한 거주지역간 사회 환경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인천은 뇌혈관질환과 당뇨, 고의적 자해의 사망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고의적 자해 사망률의 경우 최저지역인 광주에 비해 약 2.6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납 농도와 이혼율이 높은 인천은 사망원인으로 뇌혈관질환이 큰 비중을 차지했고, 대기 중 아황산가스 비율과 흡연율이 높은 울산의 경우는 기관지질환 및 폐암 사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편, 부산은 허혈성 심장질환 사망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최저지역인 전북보다 2배 가량 높은 수치이다.
이밖에 위암, 결장, 직장·항문암의 사망비율은 충북과 대전이 가장 높았으며, 최저지역인 제주, 전남에 비해 각각 1.5배, 1.9배 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남지역은 고혈압성 질환의 사망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저지역인 충남에 비해 1.8배 정도 높았으며 운수사고 사망비율은 경북이 서울의 2.8배에 달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사회 환경요인이 변수로 작용하여 노인의 사인별 사망률이 거주지역별로 차이가 나는 결과를 빚었다고 분석했다.
특히 대도시의 뇌혈관질환 사망률은 이혼율과 대기 중 납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고의적 자해 사망률도 이혼율과 큰 상관관계를 보인것으로 나타났다.
섬지역은 허혈성 심장질환의 사망률이 이혼율, 흡연율, 지방세, 비만 등이 높을수록 증가했으며 직장·결장암 사망률은 비만할수록 높았다.
이밖에 흡연율과 아황산가스농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기관지·폐암 사망률이 증가했으며 운수사고 사망률은 비포장 도로 구간이 많을수록 높았다.
김교수는 "지역별로 보면 이혼율이 높을수록 뇌혈관질환과 고의적 자해사고가, 흡연율이 높을수록 기관지 및 폐암·심장질환이, 비만도가 높을수록 직장 및 항문암이 많았다"며 "개인 통제가 가능한 흡연율, 이혼율, 비만율 등은 노인보건교육을 강화하는 등 노인건강증진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논문에 따르면 지난 2002년을 기준으로 60세 이상 노인의 주요 사망 순위는 *뇌혈관질환 *만성하기도 질환(천식) *허혈성 심장질환 *당뇨병 *기관지 및 폐암 *암 *간암 *고혈압성 질환 *간 질환 *결장·직장암 *운수사고 *고의적 자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정은 기자(jewee@medifonews.com)
2005-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