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과학자가 바라본 ‘광우병-AI’


광우병과 조류 인플루엔자(AI)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연일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과학자가 바라본 광우병·AI'라는 토론회가 열려 관심을 모았다.

이 토론회는 광우병과 AI에 관련된 과장되거나 잘못 알려진 부분에 대한 정확한 과학적 정보의 공유를 목적으로 한국생명공학연구협의회가 주관해 13일 서울 강남 메리어트호텔 그랜드 볼룸에서 개최됐다.

우희종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광우병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현재 광우병 발병과 잠복기에 대한 사이클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이러한 불확실성 때문에 미국소에 대한 전수검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광우병에 대한 위험도를 어떻게 인정할 것인가와 국민과 정부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중요하게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조류 인플루엔자란 무엇인가’를 주제발표한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AI는 사람 대 사람 감염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전제한 뒤 “단기적으로 타미플루의 비축량을 늘리고 중장기적으로는 타미플루 이외의 항인플루엔자 약물을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패널로 참석한 이중복 건국대 수의대 교수는 “미국의 현 상황에서 광우병 발생위험이 완벽하다고 할 수 없어도 최대한의 방법으로 위험요소를 제거함에 따라 과학적으로 보면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상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김재홍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AI와 관련, “정부는 피해가 없다고 만 하지 말고 구체적인 행동요령을 마련하고 모든 발병가능성을 전제로 과학적인 판단하에 의사결정을 신속히 하는 상시 방역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