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政, 주요질환 ‘4개 유형’ 특성별 연구 진행

복지부, 첫 보건의료R&D 중장기 추진전략 공청회 개최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건의료 R&D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공청회’가 개최돼 관심을 모았다.

보건복지가족부는 15일 서울교육문화회관 가야금홀에서 1년여간의 준비를 걸친 보건의료 R&D 중장기 추진전략(안)을 발표하고 방향성과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최원영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복지부가 보건의료 R&D 지원을 꾀한 이래로 13년만에 처음하는 공청회이자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는 것도 처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이어 “질병을 극복할 수 있는 R&D가 돼야 하며 연구자·연구건수 중심에서 탈피해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 가능하고 질병치료를 효과적으로 이뤄나갈 수 있는 수요중심의 보건의료 R&D를 추진함은 물론 예방·공중보건의 투자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복지부는 보건의료 R&D 중장기 추진전략에 대한 의견수렴을 거쳐 오는 5월 7일 청와대에서 열리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 대통령)에 안건으로 상정할 예정이다.

▲‘보건의료 R&D 중장기 추진전략(안)’ 무엇을 담고 있나
‘보건의료 R&D 중장기 추진전략(안)’은 국민들의 직접·실질적 수요를 충족시켜 주는 연구개발을 통해 그 효과를 직접 체감하게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질환·예방중심의 보건의료 R&D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위협성과 시의성의 기준에 따라 국민에 대한 기대효과로 주요 질환을 생활환경질환군·중대위협질환군·미래대응질환군·기능향상질환군 등 4개 유형으로 나눠 특성에 맞게 연구한다는 것이다.

또 질환별로 신약·의료기기 및 임상연구 등 제품화 영역까지 예방·진단·치료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전주기적 연구도 추진되며 사업의 특성을 반영하고 연구성과가 다음 단계로 연계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해 사업효과의 극대화를 꾀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지적돼 오던 부처간 영역 다툼과 R&D 중복·분산지원 등을 해소하고 다양한 정책수단을 묶어 질병중심의 전주기적 통합 조정방안이 마련된다.

이에 추진전략(안)에서는 가칭 ‘보건의료 R&D 협의회’의 신설이 필요하며 부처의 BT역할에 맞춰 사업목표 및 내용을 조정하고 중복된 사항을 과감히 정리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주목된다.
아울러 선택과 집중에 의한 투자 전략화 및 수익창출도 추진된다.

연구중심병원 육성을 통해 병원 자체적인 수익기반을 마련하고 연구인력 양성을 프로젝트를 추진해 임상의사가 진료와 연구 또는 연구와 교육을 병행할 수 있도록 연구전담교수 양성·확충을 꾀할 계획이다.

단기적인 투자로 임상시험 및 해외투자 유치를 통한 수익창출과 바이오 및 제약기업의 연구역량에 맞춘 제품화를 지원하며, 장기투자로 소규모 과제의 구조조정을 통한 잉여 자원으로 해외임상·마케팅 등 파격적 대규모(연 50억원 이상) 투자가 필요한 신약개발 상업성 과제가 발굴된다.

한편, 공청회에 지정토론자로 참여한 방사익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진료에 종사하는 의료계 교수들이 참여하는 보건의료 R&D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며 “잠재연구자들의 잠재력을 끌어주는 기반이 먼저 조성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유영숙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는 복지부가 추진하는 보건의료 R&D의 실현가능성을 높여한다며 “첫째 해당될 수 있는 관련부처와의 협력문제, 둘째 재원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R&D주체인 의대·연구소 등에 대한 지지와 호응을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병건 녹십자 부사장은 글로벌제약사의 R&D규모를 따라가긴 힘들다고 전제한 뒤 “선택과 집중에 의해 개량신약·바이오신약·세포치료제·백신분야에 정부가 집중 지원해야 한다”고 의견을 펼쳤다.

그는 특히 “개량신약의 경우 적은비용으로 제품화가 가능하고 경제적 파급효과가 큼에도 불구하고 현 약가제도에서는 투자비용에 비해 적정한 약값을 받을 수 없어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