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건강/웰빙

고령 출산, 임신 적령기 여성보다 각종 질병 발생률 10배↑

2006년을 기점으로 출산율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여성 1인당 평균 출생아는 1.26명으로 여전히 세계 최저수준. 30대 후반의 고령출산이 차진하는 비중도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선병원 산부인과 한균 과장은 “고령 임신 및 출산은 적정 연령의 임신 및 출산보다 각종 합병증이 적게는 2배-10배 까지 증가하기에 고령 임신이 문제가 된다” 며 “하지만 의술의 발달로 대부분의 합병증 은 극복할 수 있다, 무엇보다 적극적인 산전 진찰로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고혈압성 질환- 젊은 임신부에 비해 2~4배 발생 가능성 높아

35세 이상의 여성에서 만성 고혈압의 발생이 높아지게 되며 실제적으로 발생된 고혈압성 질환이 임신 이전에 발생한 것인지 임신으로 생긴 것인지 구분하기는 힘든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보고에 의하면 고령 임신부의 경우에 젊은 임신부의 경우보다 2-4배까지 발생 가능성이 증대된다. 고혈압성 병변이 높은 이유는 육체적 및 정신적으로 퇴행성 병변이 일어나고 순환기 질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제왕절개술 증가

노령임신부에서 제왕절개술의 의한 출산율은 보고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고령 임신부군의 빈도가 35세 이하의 임신부군에 비하여 높았다는 점에서 일치하고 있다. 고령 임신부에서 제왕절개에 의한 출산이 증가하는 이유는 고혈압성 질환, 당뇨, 조기진통의 위험도가 증가되기 때문이며 골반 자체로 인한 난산율이 높기 때문이다.

▲태아 및 신생아 합병증 증가 원인

고령 임신부군에서는 자연유산, 염색체 이상으로 임신 초기 유산률이 증가되며, 조기분만, 태아성장지연, 자궁내 태아 사망으로 인하여 주산기 이환율과 사망률이 모두 증가된다.

▲유산

고령 임신부군에서 자연유산의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대부분의 역학 조사에서 보고하고 있으며 20대 임신에 비해 40대 임신의 경우 자연 유산의 빈도는 2-4배 증가한다

▲선천성 기형 증가

선천성 기형 중 임신부의 연령과 가장 관련이 깊고 흔한 질환은 다운증후군으로 30대 중반부터 위험도가 증가하여 40대가 지나면 그 위험도는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다운 증후군은 40세 이상의 고령 초산부에서 특히 많이 출산되며 이는 수정의 지연으로 과도하게 성숙된 난자로 인해 염색체 비분리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기타 질환

심혈관계, 신경계, 신장, 폐질환, 종양발생의 위험도가 증가되며 이러한 위험은 산전뿐만 아니라 산후에도 증가된다. 또한 혈전 폐부종, 만성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는 심부전증의 위험도 증가한다.

◈적극적 산전 관리로 건강한 아이를

▲임신 초기의 생활 법- 임신 초기의 고령 임신부들은 무엇보다 유산에 주의해야 한다. 나이 들어서 임신을 한 임신부들에게 잘 나타나는 문제점 중 하나가 바로 초기 유산이기 때문. 고령임신 자체로 인한 태아기형 발생비율의 증가로 유산이 증가되기도 하지만 착상과정에서도 유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안정과 컨디션 조절이 중요하다.

▲임신 중기의 생활 법- 고령 임산부일수록 이 시기의 기형아 검사에 보다 더 적극적이어야 한다. 보편적으로 임신 16주경에 산모 혈액 검사로 기형아 검사를 실시하며 37세 이상의 산모는 직접 양수 검사를 통해 태아의 염색체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세계 산부인과학회에서는 극동 아시아 지역의 산모는 모두 임신성 당뇨병 선별 검사를 받게 하고 있으며 고령 임산부일 경우 당뇨에 의한 임신 합병증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극적 검사를 요한다.

▲임신 후기의 생활 법- 실제적으로 고령 임산부의 합병증의 발현은 이 시기에 주로 나타나므로 체중 증가나 체형의 변화에 보다 더 민감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장거리 외출은 피하고 안정을 한다.

이 시기에 들어서면 임신부 자신과 아이의 상태를 살펴 어떻게 출산할 것인지 담당 의사와 상담을 하도록 한다. 고령 출산이라 하여 꼭 제왕절개를 할 필요는 없지만 의사가 무리라는 진단을 내리면 자연분만을 고집하지 않는 것이 엄마나 태어날 아기를 위해 바람직.

▲출산후의 산후 조리- 임신과 출산의 과정만큼 출산 후의 건강 관리가 중요한 것은 모든 임신부들에게 해당하는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