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덕틸’이 비만으로 인한 당뇨 등의 신진대사 질환과 심혈관계 질병에 대한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비만학회 아시아-오세아니아 회장 이안 카터슨(Ian Caterson) 박사는 지난 29일 내한하여 서울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오늘날 비만은 빠른 확산과 함께 그 합병증으로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만의 확산은 유전적인 요인보다는 환경적인 요인(식생활 및 일상적인 활동 패턴의 변화)이 더 큰 원인”이라고 연구결과를 인용 발표했다.
비만치료제 ‘리덕틸’을 판매하는 한국애보트 (대표: 제임스 본드)와 일성신약(대표: 윤석근)의 주최로 마련된 간담회에서 ‘카터슨’박사는 “특히 아시아에서는 비만관련 질병이 하체의 BMI 지수 혹은 허리둘레로 인해 발생한다”고 강조하고 “이는 동양인들이 상대적으로 비만율이 높고, 복부에 지방이 축적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일 것”이라고 밝혔다.
카터슨박사는 “동양인의 비만 치료 과정은 하체 부위에 대한 ‘운동 치료법’이 필요하며, 이 점은 이미 최근 AOASO 회의에서 의견의 일치를 본바 있으며, 현재 이와 관련한 보다 정확한 연구를 위해 ‘아시아 공동 비만 연구(Obesity in Asia Collaboration)’가 설립되어 한국의 의사들도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터슨 박사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약물요법 등의 비만 치료법은 상당히 효과적이며 안전하다”면서 “비만 치료는 원래 체중의 5~10% 정도를 감량하고 이를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고, 이러한 체중감량은 당뇨 등의 신진대사 질환과 심혈관계 질병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12개월동안 ‘리덕틸’ 투약을 통한 체중감량과 당뇨에 관한 연구결과를 인용했는데, 7%의 체중감량은 당뇨의 위험을 58% 정도 감소시키고, 더욱 많은 체중감량은 당뇨 발병률을 더욱 낮추며, 또한 체중감량과 심혈관계 연구에 대한 최초 연구인 ‘리덕틸 심혈관 효과 연구 (SCOUT; Sibutramine Cardiovascular OUTcomes study)’ 결과가 조만간 발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2년간 ‘리덕틸’을 투약한 STORM 연구 결과에 따르면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고밀도(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21% 증가하였으며, 이는 오직 체중감량에 따른 HDL 콜레스테롤 상승에 대한 임상시험으로는 찾아보기 힘든 결과라고 지적했다.
카터슨 박사는 비만과 대사증후군에 대해서도 언급, “대사증후군이란 정확히 정의하기 어려운 개념으로 복부비만이 대사증후군의 큰 원인임이 밝혀졌으며, 이에 따라 내장 지방을 감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대사증후군으로 고혈압, 당뇨 등이 있다고 말하였으며, 알코올 없는 지방성 간 질환 (NAFLD 혹은 NASH) 또한 대사증후군 중 하나이며, 아시아에서 대사증후군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내려질 필요가 있다”면서 “최근 대만에서 실시된 대규모 설문조사에 의하면 대사증후군의 발병율이 7%에 달한다”고 말했다.
카터슨 박사는 “대사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체중 감량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생활 습관 프로그램과 리덕틸을 투약하여 최소 2년 동안 체중감량 효과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HDL 콜레스트롤 수치를 증가시키고, 당뇨를 적절히 조절하며, 허리둘레(복부비만)를 상당히 감소할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애보트와 일성신약에서 판매하고 있는 ‘리덕틸’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처방하고 있는 비만치료제로서 현재 국내시장 1위 제품이다. ‘리덕틸’은 하루 한알 간편한 복용으로, 포만감 증대를 통해 식사량을 감소하고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키며, 지속적으로 체중을 감량, 유지시키고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는 약물이다.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