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복지부가 28개 제약사들이 ‘원료합성’에서 ‘원료수입’으로 허가를 변경해 부당한 이익을 취했다고 발표함에 따라 지난해 생동성 조작 파문, 공정위 리베이트 조사에 이어 다시금 국민들의 국산약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게 됐다.
특히 이번 적발에서 부당 이익을 취한 제약사 중 유한양행, 대웅제약, LG생명과학 등 대형 제약사들도 대거 포함돼 있어 국내 의약품에 대한 소비자 불신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또한 원료합성이나 원료 수입의 과정을 거치는 품목들은 생산규모가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 적발된 제품들이 대다수 대형품목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어, ‘원료합성’에서 ‘원료수입’으로 허가를 변경한 약품 품목이 드러날 것으로 보이는 10월쯤에 다시 한번 논란이 예상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발표에 대해 30대 모 회사원은 “지난해 밀가루 약 파문에 이어 의약사와의 리베이트를 통한 약가 거품 유발 등 제약회사들의 약의 효능 및 약가를 믿을 수가 없다”며 “이번 복지부 발표에서도 다시금 드러났듯이 국민 건강과 직결된 제약회사들인 만큼 규제 및 처벌에 대한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업계는 제약사들의 소명절차를 진행하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가 일방적으로 원료합성 관련 결과를 발표해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고 반발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번 복지부의 발표로 국내 전체 제약사 이미지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가 다시금 추락하게 됐다”며 “일부 특정사의 제품에 한정된 행정 조치를 모든 제약사가 편법을 저지르고 있는 것처럼 발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