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으로 심리적 스트레스가 쌓이면 백혈구 세포 염색체 말단 텔로머 (Telomeres) 단축현상이 촉진되는 기전에 의해서 노화가 빨라진다는 사실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의 에펠 (Elissa S. Epel) 박사 연구진이 주장하고 있다.
테로머는 염색체 끈의 말단을 이루는 부위를 말한다. 마치 구두끈이 시작되는 부위 말단 모양으로 생긴 이 부위는 염색체 안전성을 증진하고 매 세포가 복제될 때마다 이 텔로머가 짧아지게 되며 수 없는 세포 분열 재생이 번복되면서 텔로머가 줄어가다가 완전히 절단 상태가 되면 더 이상 세포 분열이 되지 않고 그 세포는 사망하게 된다.
이들 연구진은 심리적 스트레스가 이 텔로머 절단에 영향을 미쳐 노화를 촉진한다는 이론을 입증하고 자 만성 질환 아동을 일차적으로 간호하고 있는 폐경 전 건강한 여성 39명과 건강한 아동을 둔 동 연배의 엄마 19명을 비교 집단으로 하여 연구에 참여시켰다. 스트레스는 표준화된 질문으로 측정하고 텔로머 길이는 환자의 혈액 검체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만성 질환 아동을 간호하는 집단에서는 간호 기간이 길수록 테로머의 길이는 짧아졌다. 스트레스가 가장 심한 여성 14명에게서 텔로머는 길이가 평균 3,110단위인 반면 스트레스가 낮은 여성 14명은 텔로머 길이가 평균 3,660 단위로 나타났다.
성인은 텔로머 절단이 연간 31-63단위씩 잘라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스트레스가 심한 여성의 550 단위 차이는 곧 9-17년 빠르게 늙는다는 사실을 의미하고 있다.
물론 간호 기간이 문제가 되겠으나 모든 간호 엄마들이 높은 스트레스 집단에 해당되지는 않고 있다고 저자는 지적하고 다만 본 연구에서 가능한 한 스트레스를 줄이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요점이라는 것이다. (자료: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nline November 29, 2004. )
(2004.12.02. 외신부 medienglish@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