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 집행부가 복지부를 방문, 정부가 추진 중인 성분명처방 시범사업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즉각적인 철회를 촉구했다.
김성덕 직무대행은 20일 오전 장윤철 상근부회장 직무대리·박효길 보험부회장·변영우 의료법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및 강원국 사무총장 등과 함께 복지부를 항의 방문했다.
김 대행 등은 당초 변재진 신임 복지부 장관을 만날 예정이었으나, 취임 이틀째인 변 장관이 이날 업무로 자리를 비운 관계로 이영찬 보건의료정책본부장과 김강립 의료정책팀장 등을 만나 시범사업에 대한 의료계의 반대의견을 분명히 밝혔다. 아울러 변재진 장관의 취임을 축하하는 메시지도 전했다.
이 자리에서 김 대행은 “2000년 의약분업 사태보다 더 심각한 사안인 성분명처방 시범사업이 개원가의 문제만은 아니라는 인식이 전 의료계에 확산돼 18일 의학회·국립대병원장협의회·사립대병원장협의회·개원의협의회 등과 긴급 대책회의를 갖고 공동성명을 발표하는 등 의료계 모든 직역이 한 뜻으로 반대하고 있다”며 의료계의 입장을 피력했다.
아울러 “반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이미 대한약리학회를 통해 성분명처방의 문제점을 학술적으로 분석해 놓았다”고 덧붙였다.
또 이 분석자료를 비롯해 18일 의협·의학회·국립대병원장협의회·사립대병원장협의회·개원의협의회 등과 공동으로 발표한 성명서와 오늘 발표한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글'을 전달했다.
변영우 비대위 위원장도 “의약분업의 대전제가 임의·대체조제를 금지한다는 것이었다”고 상기시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임의조제가 성행하고 있는데, 또 성분명처방 등을 통해 대체조제를 허용하는 것은 의약분업의 실패를 인정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대해 이영찬 본부장은 “임기 막바지에 잘 정리하고 마무리하고 싶은 것이 정부의 생각이며, 향후 복지부와 의료계의 긴밀한 대화를 통한 협조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한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서로 노력하자”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