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넥스가 폐암을 적응증으로 하는 세포치료제를 하반기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제품화될 예정인 폐암 세포치료제(DC-Vac/EP-L)는 면역시스템을 유도하는 수지상 세포를 이용한 것이다.
바이네스측의 설명에 의하면 인간의 면역체계에서 T-cell은 단독으로 항원과 반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항원전달세포의 역할이 필요하다. 수지상세포는 항원전달세포의 일종으로 항원을 부분적으로 소화시켜 짧은 polypeptide 형태로 만든 후 cell 표면으로 이동 시켜 T-cell과 반응하도록 한다. DC-Vac/EP-L은 폐암환자의 말초혈액에서 단핵구 세포를 분리해 이를 종양항원에 대한 정보가 탑재된 수지상세포로 분화시킨 것이다.
DC-Vac/EP-L은 현재 임상 1, 2상 종료 후 식약청에 품목허가 신청을 했고, 유방암으로의 적응증 확대를 위해 임상 1, 2상을 동시에 진행 중이다.
세포치료제의 치료비용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해외보다 낮은 수준이 될 전망이며, 바이넥스는 세포치료제 사업으로 올해 약 3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대장암치료제(DC-Vac/IR)도 임상 1, 2상을 완료 후 허가신청을 위한 자료정리 중에 있으며, T-cell을 직접적으로 대량증식 후 다시 주입하는 활성화 림프구도 위장관암에 대한 전임상을 완료 후 임상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중이다.
아울러 약 40억원을 투자해 세포은행 사업에 진출, 이는 건강한 상태의 혈액에서 면역세포를 분리해 보관 후 암과 면역결핍에 의한 질병발생시 면역치료제로 이용하는 것으로 세포치료제 판매를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될 방침이다.
세포은행 또한 세포치료제가 제품화되는 하반기에 맞추어 가동이 가능할 전망이다.
한편, 바이넥스는 폐암 세포치료제(DC-Vac/EP-L)의 품목허가시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에서 판매를 담당하게 되면, 충청도와 경기권 영업은 근화제약이 담당하기로 임상 시험전에 계약된 상태다.
근화제약은 제품 판매액의 일정부분을 로열티를 바이넥스에 지급하게 되며, 향후 적응증 확대를 위한 임상비용의 50%를 부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