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과중한 진료로 연구시간 부족하다”

인제대 이병두 교수, 진료의사 업적평가기준 개선 제기


지난17일 인제의대 내과 이병두 교수는 제16차 의학교육합동학술대회에서 “의과대학의 임상 교수는 과중한 진료 업무를 수행하면서, 승진이나 급여에서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아 교직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고 발표했다. 이 교수는 “임상의학 교수는 진료 및 학생교육과 연구활동에서 벗어나,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의 주목적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토록 의대교수의 역할과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임상의학 교수의 승진심사 및 급여책정과정에서 교수업무의 분담 정도를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업적평가체계가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날 이 교수는 “임상의학 교수의 경우, 진료, 교육, 연구 업무를 수행하는데, 업무의 비중을 교수의 개인적 의견과 소속 기관의 사정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기관에 따라 더 많은 임상 진료 인력을 증원시켜야 하고 의료수가 체계의 변화를 포함한 의료기관의 수익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시급하며 임상의학교수의 승진심사 및 책정과정에서, 교수의 업무분담정도에 다양한 교수업적평가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특히 이 교수는 “최근 신설 의과대학의 부속병원 건립과 기존 의과대학의 부속병원이 증설돼 병상 수가 지난 20년 동안 5배 증가하였고 같은 기간에 임상의학 교수도 5배나 증가했다”고 주장했다.
 
 
 
 
           <표 1> 연도 별 의대 부속병원 병상 수 및 임상의학 교수 수*
 





연도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의대 수

20

24

30

32

40

41


부속병원 병상 수

11,656

20,685

25,812

33,663

46,989

57,842


임상의학 교수 수

1,324

2,303

3,052

3,869

5,700

6,638


교수 1인당 병상 수

8.8

9.0

8.5

8.7

8.2

8.7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 의학교육현황 : 1978-2002 (ABMEK DATA BOOK), 2003
 
이 교수는 “임상의학 교수 1인당 병상 수로 볼 때 진료업무 부담은 지난 20년동안 전국민 의료보험 급여와 의약분업 실시, 의료기관의 수익성 악화, 국민들의 의료 수준에 대한 기대 상승 등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진료의 필요성 증대로 인해 진료업무에 큰 부담을 갖고 있다” 며 이는 교수들의 교육과 연구활동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4년 3월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와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실시하는  「의과대학 교수의 교직만족에 관한 연구」를 위해 전국 의과대학의 전임강사 이상의 2,000명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의대교수의 주요 직무를 교육, 연구, 진료, 보직, 봉사 등 5가지로 나누었을 때, 응답자의 주요 직무 활동별 시간 비중은 기초의학 교수가 연구 활동이 37.6%, 교
 
<표 2> 주요 직무 활동별 시간 비중(단, 기타 응답 제외)*
 





구분

응답자 수

교육활동(%)

연구활동(%)

진료활동(%)

보직활동(%)

봉사활동(%)


전체

456

15.6

18.0

49.8

10.1

6.7


기초의학 교수

60

28.8

37.6

6.8

15.3

11.6


임상의학 교수

386

13.4

14.7

56.8

9.4

5.8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의과대학 교수의 교직만족에 관한 연구
 
육 활동이 28.8% , 임상의학 교수의 경우 진료 활동이 56.8%로 가장 높았고. 연구 활동은 14.7%, 교육 활동은 13.4%였다고 밝혔다. 교수 직위별 진료 활동 비중은 정교수 47.0%, 부교수 50.6%, 조교수 53.9%, 전임강사 56.3%로 직위가 낮을수록 진료 활동 비중이 더 높았다고 말했다. 국공립 의대 교수의 진료 활동 비중은 43.6%인데 비해, 사립 의대 교수의 경우 51.8%로 더 높은 반면 의대 교수의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51.4시간(국공립대 47.2시간, 사립대 52.7시간)이고 임상의학 교수의 주당 평균 진료시간은 27.2시간으로 전체 근무시간(52시간)의 52.3%라고 조사됐다고 밝혔다. 
 
                    <표 3> 주당 진료시간 및 평균 진료시간(단, 기타 응답제외)
 





구분

응답자 수

진료시간

평균 진료시간


20시간
미만(%)

20-30
시간(%)

30-40
시간(%)

40시간
이상(%)


전체

456

34.0

27.9

21.3

16.9

23.7


기초의학 교수

60

93.3

1.7

3.3

1.7

2.3


임상의학 교수

386

23.8

32.4

24.4

19.4

27.2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의과대학 교수의 교직만족에 관한 연구.
 
이 외에도 이 조사에서는 진료활동에 대한 직무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00으로 보통 수준으로 진료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직위가 높은 교수는 2.42~3.11, 급여를 많이 받은 교수일수록2.76~3.33로 나타났다. 또한 사립대 교수2.94보다는 국공립대 교수3.20으로 더 높아 진료활동의 비중이 낮고 급여가 많을수록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임상의학 교수의 경우, 승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력이 53.4%, 연구 활동이 32.6%를 차지하고, 진료활동은 10.2%, 교육활동은 1.6%로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의학 교수의 45%는 해당대학의 업적 평가(track별 업적평가)에서 연구활동이 57.2%, 진료활동이 37.7%, 교육활동이 5.0%를 각각 차지한다고 답했다.
 
반면 현재 track 업적 평가를 시행하지 않는 대학의 임상의학 교수들은 앞으로의 업적 평가에서 진료활동이 54.8%, 연구활동이 27.7%, 교육활동이 15.7%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병두 교수는 이같은 설문조사 결과 의과대학의 임상 교수는 과중한 진료 업무를 수행하면서, 승진이나 급여에서는 이 부분이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교직에 대한 만족도도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임상의학 교수는 진료는 물론 학생교육과 연구활동을 모두 잘 수행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현실에서 벗어나, 의과대학과 부속병원이 원래 목적과 기능을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의대 교수의 역할과 그에 따른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모색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진승준 기자 (sjchin@medifonews.com) 
2004-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