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자궁경부암 백신사용, ‘제한’ 따를 듯

김승철 교수 “임상 효율 극대화 선별검사 프로그램 개발 절실”

빠르면 올 하반기부터 국내에 도입될 자궁경부암 백신에 대해 향후 10년 이상의 추적 관찰 기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대규모 무작위 배정 임상 시험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이 수립돼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됐다.
 
이화의대 목동병원 김승철 교수(산부인과)는 디아트리트 겨울호에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의 최신지견’이라는 기고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승철 교수는 “자궁경부암과 관련된 질병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HPV 백신은 그 유효성이 인정되고 있지만 대규모 임상 시험에도 불구하고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점들이 남아 있어 백신의 실제 적용은 데이터를 근거해서만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HPV 백신의 문제점에 대해 먼저 ‘백신 접종으로 생기는 예방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는가’ 하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HPV 감염 경로가 되는 성생활은 백신 접종 이후 수십 년 간 지속될 것이므로 백신 효과의 지속 기간은 접종 시행시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백신에 대한 면역 반응을 고려할 때 소아기의 접종이 효과가 높기 대문에 더 유리하며, 이는 현재 시행 중인 다른 종류의 백신의 예를 보아도 알 수 있다.
 
하지만 HPV 백신의 경우는 사정이 조금 다르다.
 
미국 질병관리본부의 자료에 의하면 13세 여학생 중 7.4%가, 고3 여학생 중 46.7%가 성관계 경험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백신의 지속 기간에 대한 테이터가 없음을 감안한다면, 영유아기에 시행하는 다른 예방 접종과는 달리 사춘기 무렵의 접종이 추천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개발된 두 가지 백신의 경우, 서바릭스는 4.5년, 가다실은 3년 간의 지속적인 항체 역가 상승을 보이고 있으나 장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추가 접종의 필요성 및 최적의 시기가 밝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김 교수는 백신의 교차 예방에 대한 연구 역시 과제로 남아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는 2가 백신인 서바릭스가 HPV 16, 18형 이외에도 31, 45형에 대해 교차 예방 효과가 있다는 정도만 보고돼 있다.
 
보다 많은 아형의 HPV에 공통적인 항원을 찾아 내 교차 예방이 가능한 다가 백신이 개발된다면 임상적 유용성은 비약적으로 증대 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이와 함께 남성에 대한 예방 접종의 임상적,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 역시 시급하다고 김 교수는 지적했다.
 
HPV는 남성과 여성의 성관계에 의해 전파되지만, 자궁경부암의 질병 부담은 여성만이 지고 있고 임상 시험 역시도 여성만을 대상으로 시행돼 왔다.
 
성관계에서 기인하는 질병에 대한 부담을 남성이 나누어 갖는 것은 당연하며, 집단 면역학의 개념에 입각해 볼 때에도 남성의 예방 접종이 더해진다면 그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제로 1970년대 스웨덴에서는 fetal rubella syndrome을 예방하기 위해 10대 이전의 소녀들에게만 선택적으로 rubella 백신을 접종했으나 이러한 sex-specific vaccination이 효과가 없음이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남성의 HPV 검사 방법과, 시기, 백신 접종 방법과, 시기 등을 결정할 수 있는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임상시험이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HPV 백신의 임상 적용이 자궁경부암 선별 검사의 간격, 검진 요령, 검진 방법 등 전반에 걸친 변화를 가져 올 것이 분명하지만 현재까지 백신 접종과 관련해 선별 검사의 가이드라인을 바꿀 수 있는 의학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므로 기존의 지침대로 지속적인 선별검사를 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임상시험의 장기 추적과 재평가로 비용-효과 면에서 임상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선별검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기고문 말미에서 “HPV 백신에 대해 선진국에서 수행된 임상시험 결과가 보고 되고 있고, 장기 추적 관찰이 진행되고 있으나 개발도상국 및 후진국에서 호발 하는 자궁경부암의 역학을 고려한다면 국내에서 시행되는 임상시험 및 그 결과가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질 것이므로 학술적, 임상적 관심과 함께 국가 보건정책 차원의 참여와 지원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