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노인의학, 가정醫 주도로 발전돼야”

한성호 교수, ‘전문교육제도 도입-시설개설 동참’ 등 제시


인구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국내에서 가정의가 노인의학을 주도하고, 이 역할을 수행할 전문의를 양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동아의대 한성호 교수(가정의학교실)는 ‘고령화 사회에서 가정의학과 의사의 역할’을 주제로 대한가정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인구의 고령화와 맞물려 노인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노인의학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는 몫이 가정의에게 있다는 것이 한 교수의 의견이다.
 
먼저 학회 내에서 보수교육과 연수강좌를 통해 노인의학 전문교육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 교수는 “학회 또는 개원의협의회가 독자적 혹은 노인의학 관련학회와 연계해 노인의학 인정의제도 설립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학대학 내에 노인의학 과목 개설 및 적극적인 관련 연구를 제안하며 “노인의학과목의 본격적인 수업이나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이므로 노인의학에 대한 가정의학과적인 접근의 여지가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노인의료시설 참여에 가정의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 교수는 “동시다발적인 특징을 가진 노인질환의 특성상 타 분과의 전문의는 애로점을 많이 호소하지만 가정의는 유리한 점이 많다”며 노인전문병원 뿐만 아니라 노인관련 의료시설 개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동시다발적인 노인질환의 특성을 고려해 팀간 협진체계와 다양한 전달체계를 세울 것을 제시했다.
 
노인의학에 있어 가정의가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재활의학, 신경외과 등 여러 전문과목 간의 협진을 통해 의료의 질적 서비스를 높이는 것이 보편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한 교수는 “전문과목 간에 구체적이고 명확한 진료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사회복지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 직종간의 협력체계와 원활한 의사소통도 필수적이라는 것.
 
이와 함께 유비쿼터스 헬스시스템의 상용이 현실화될 전망이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시했다.
 
조현미 기자(hyeonmi.cho@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