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병원 항생제 노출 직원 ‘감작 빈도’ 증가

박해심 교수팀 ‘작업관련 호흡기 증상 발생에도 관여’ 보고

직업적으로 주사제 항생제에 노출됐을 경우 감작 빈도가 증가하고 작업관련 호흡기 증상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아주의대 박해심 교수팀(알레르기면역내과)은 지난 달 27일부터 이틀간 열린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병원 직원에서 노출에 따른 항생제 Ceftriaxone과 Ciprofloxacin 감작률의 비교’ 발표에서 이들 항생제의 직업적 노출과 감작 빈도 및 알레르기 증상과의 연관성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직업적으로 약제에 노출되는 병원 직원과 감작의 빈도와 알레르기 증상과의 관련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두 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직원 중 약제를 취급하는 간호부 335명, 약제부 32명과 약제를 취급하지 않는 비노출 직원 75명, 병원에 근무하지 않는 건강대조군 85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인구통계학적 자료, 직업, 알레르기 병력, 알레르기 증상의 유무 및 작업과의 연관성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흔한 흡입항원에 대한 피부시험, 총 IgE항체치,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특이 IgE항체치(d1)를 측정해 아토피 유무를 평가했다.
 
아울러 각각의 항생제에 대해 항생제-알부민 복합체를 만들고 ELISA 방법으로 ceftriaxon과 ciprofloxacin 특히 IgE항체를 측정했다.
 
그 결과, ciprofloxacin에 대한 특이 IgE항체 양성은 총 19명(3.6%)으로 간호부가 15명(4.5%), 약제부 3명(9.4%), 비노출직원 1원(1.3%), 건강대조군 0명(0%)으로 나타났다.
 
Cerfriaxone에 대한 특이 IgE항체 양성은 총 15명으로 간호부가 12명(3.6%), 약제부 1명(3.1%), 비노출직원 2명(2.7%), 건강대조군 0명(0%)으로 나타났다.
 
작업관련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 경우는 45명(11.4%)이었는데, 간호부 38명(12.4%), 약제부 5명(16.1%), 비노출직원 2명(3.4%)으로 간호부와 약제부에서 증상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eftriaxone에 감작이 돼 있는 경우 작업관련 호흡기 증상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해심 교수는 “ceftriaxone 및 ciprofloxacin에 의해 알레르기 질환이 발생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으나, 직업적 노출에 의한 감작의 빈도 및 알레르기 증상과의 연관성은 명확하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병원에서 항생제 ceftriaxone 및 ciprofloxacin에 대한 노출은 감작의 빈도를 증가시키고 작업관련 호흡기 증상의 발생에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최지현 기자(jhchoi@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