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고형암을 대상으로 한 차세대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해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전주기 기술개발 연구단』을 출범하고 단장으로 혈액암센터 엄현석 교수(전 부속병원장)를 선임했다고 17일 밝혔다.
본 사업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총 488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바이오 수출 증대와 첨단 바이오의약품 개발 기반 확충을 목표로 하는 다부처 협업사업으로, 보건복지부가 임상개발 부문을 전담하고 국립암센터가 전문기관으로 연구를 수행·지원하게 된다.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는 혈액암에서는 상용화되었으나, 전체 암종의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고형암에서는 상용화 실적이 거의 없어 세계적으로 원천·임상 기술 개발과 규제 합리화를 위한 연구가 치열하게 진행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세계를 선도할 차세대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에 착수하게 되었다.
특히, 고형암 대상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해 유전자 전달체인 바이러스 벡터 및 면역세포를 생산하고, 이 세포치료제를 암환자에게 처방하여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 단계까지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립암센터는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와 협력하여 유전자 전달 바이러스 벡터 및 면역세포(T세포) 생산 및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림암센터를 포함한 주요 연구기관에서 비임상 연구 및 암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기술 검증 단계까지 포함하는 임상연구를 수행하여 국내 고형암 환자에게 획기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편, 본 사업은 다부처 협업으로 추진되며, 국립암센터는 과기부 원천기술개발사업인 '임상연구중개지원센터'와의 연계를 통해 과제를 지원함으로써 유기적인 바이오의약품 개발의 전주기(연구-개발-임상-상용화)를 수행할 계획이다.
양한광 원장은 “고형암은 혈액암에 비해 치료가 까다로운 분야로, 이번 사업은 국내 기술력으로 고형암의 난제를 극복하여 환자에게 희망을 줄 기회”라며, “본 사업 출범을 통해 고형암 면역세포 치료제 분야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창출하여 국내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만드는데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