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개최된 의협 임시대의원총회에서 장동익 회장에 대한 불신임이 부결된 가운데, 과연 장 회장을 비롯한 집행부가 일련의 불거진 사태를 어떻게 봉합해 나갈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임총을 통해 대의원회로부터 재신임을 얻음으로써 현 집행부의 존폐에 대한 논의가 일단락된 만큼, 이제는 회원 및 대외적 신뢰회복을 비롯한 사태수습을 위한 수순을 밟아야 한다는 것이 의료계의 전반적 시각이다.
장 회장은 일단 임총 당시 불신임안이 부결된 직후, 집행부 상임이사진 대폭 개편, 회계부분의 투명한 회무 추진, 원로고문회의를 통한 의료계 단합 방안 도출 등의 뜻을 밝혔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단초가 됐던 전공의협의회와 소아과개원의협의회와의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은 밝히지 않은 상태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회원들의 불신 해소를 위한 방향제시로는 미흡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임총을 통해 장 회장 집행부가 일단 3개월여의 회무기간 동안 초래한 의혹과 회무집행 문제에 대한 면죄부를 받기는 했지만, 불신임 부결이 집행부에 대한 신뢰로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현재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는 의료계 내부의 갈등요소와 분열양상은 장 회장이 풀어야 할 난제로 남아있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장 회장에 대해 제기됐던 고소고발 건에 대한 해결문제를 비롯해 불신임에 대해 찬반이 엇갈린 것으로 알려졌던 영·호남권 의사회 및 내과와 타 과목간의 수렴 등이 당면 과제로 꼽히고 있다.
장 회장은 정면대응으로 맞설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그동안 제기됐던 고소 건과는 별도로 장 회장의 횡령 및 배임과 관련된 새로운 고발 건이 제기될 움직임 마저 보이고 있어 원만한 해결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번 임총의 불신임 투표결과 ‘불신임 찬성’ 의견이 재적대의원의 과반수에 이른 것과 관련, 일각에서는 완전한 재신임으로 볼 수 없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전반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가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에 따라 의료계의 화합과 단결을 위해서는 그동안 의료계 내부의 직역간 갈등을 초래해 왔던 소아과 개명 문제에 대한 의료계 내부의 명확한 입장정리가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소아과 개명문제는 국회의 의료법 개정에 달린 사안이지만, 의료계의 의견수렴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보류된 데다 소아과 개명을 중심으로 의료계 내부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조속히 매듭지어야 한다는 것.
하지만 현재로서는 내과와 소아과간 입장이 오히려 불신임안 부결 이후로 재과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내과측은 설사 장동익 회장이 소아과 개명으로 협회 입장을 정하더라도 오히려 의학회와 의협 상임이사회 의결을 백지화한다는 입장인 반면 소아과 측은 더 이상 소아과 개명문제가 지연될 경우 정상적인 방법이 아닌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한다는 입장이다.
김일중 대한개원내과의사회장은 30일 “소아과개명에 대해 소아과측은 의학회와 의협의 상임이사회에서 통과된 사안이라고 하지만 단지 그것이 소아과 개명이 가능한 명분이 될 수는 없다”며 “소개협, 소아과학회, 내개협, 내과학회 등 4개 단체가 모여 재논의하는 자리를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 회장은 “의협회장 선거의 직선제 전환도 그 과정에서 의협의 최고 의결기구인 대의원총회에서 수차례 부결됐던 사안”이라고 강조하고 “따라서 아무리 의학회와 의협에서 인준했다 하더라도 그것으로 끝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소아과 개명은 장동익 회장이 추진을 하더라도 내과 입장은 이 같은 입장에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반면 임수흠 대한소아과개원의협의회장은 “더 이상 이와 관련된 재논의는 필요없다”고 전제하고 “감사보고에서도 이미 소아과 개명에 대한 당위성은 인정했고 장 회장도 수시로 잘못했다고 밝혔던 만큼 원칙대로 할 문제”라고 밝혔다.
임 회장은 또 “우리가 장 회장에 대한 불신임을 주장했지만 임총에서 부결됐기 때문에 그 결과와 원칙을 존중한다”며 “따라서 원칙아래 소아과개명도 지켜져야 하며 이는 정상적인 의협으로 바로세우기의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만일 내과측이 이전과 같은 행태로 나온다면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하지만 그때는 그동안 우리가 취해왔던 정상적인 방법이 아닌 동원가능한 방법은 모두 동원하게 될 것”이라고 암시했다.
한편 유희탁 의장은 소개협과 대개협 등으로부터 받은 향후 조치에 대한 확답요구를 장 회장에게 전달할 예정이어서 이에 대한 장 회장의 결단이 주목된다.
류장훈 기자(ppvge@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