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2년 제기된 유리앰플주사제 사용시 나타나는 유리파편의 위험성에 대해 식약청이 4년째 무대책으로 일관하고 있으며, 3000만원을 들인 연구용역은 서랍 속에서 잠자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효석 의원(민주당)이 식약청의 국정감사 자료를 검토한 결과 식약청에서 지난 2002년 유리앰플주사제의 위험성에 대해 문제가 제기 되자 “가능한 사용을 억제하고, 타 제품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주의 경고문구를 삽입”하도록 선조치 한 후 “해결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임시방편적 발표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이후 2004년까지 2년간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다가 지난 2004년 뒤늦게 3000만원을 들여 관련 연구용역을 실시했으나 연구 결과가 제출된 지 2년이 다 되도록 아무런 후속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식약청에서는 관련 대책 및 제도 개선 이전에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유리앰플주사제의 위험성 검증조차 하지 않은 채 방치하고 있어 수많은 환자들을 위험에 무방비 상태로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효석 의원은 “식약청은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기관으로서 최 우선적으로 유리앰플주사제의 위험성을 검증해야 함에도 이를 수행하지 않은 채 방치한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지적하고 “하루속히 안전성을 검증하고, 관련 연구용역과 전문가의 의견 등을 청취하여 후속 대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한편, 유리앰플주사제에 대한 위험성은 지난 2002년 일반인들의 민원이 증가함과 동시에 같은 해 6월 서울대학병원 약제팀에서 사용하는 앰풀주사제 87종을 조사한 결과 앰풀 안에 유리파편이 혼입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히고, 이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문제가 제기됐으며, 당시 식약청 담당자는 외국 사례 등을 검토해 해결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었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