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의정 갈등 최고조…의협 “6월부터 큰 싸움 시작”

의협, 30일 ‘대한민국 정부, 한국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 개최

대한의사협회 임현택 회장이 6월부터 본격적으로 의료 농단에 대한 큰 싸움을 시작한다며 사실상 총파업을 예고했다.

의협은 30일 저녁 서울 중구 덕수궁 대한문 앞을 비롯해 전국 6곳에서 ‘대한민국 정부, 한국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를 열었다.

의협은 정부의 비과학적·비합리적 의대정원 정책의 문제점을 지목하고, 정부에 의한 한국 의료 몰살 정책을 규탄하기 위해 이번 집회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전국 곳곳 집회에 참가한 의사들은 종이컵을 씌운 촛불과 근조 리본이 부착된 손팻말을 들고 의료 정상화를 외쳤다. 손팻말에는 ‘국민건강 사망. 의학교육 사망’ ‘고집불통 의대 증원 대한민국 의료 사망’이라는 구호가 적혀 있었다.

서울 집회는 임현택 의협 회장 개회사를 시작으로 김교웅 의협 대의원회 의장의 애도사, 황규석 서울특별시의사회 회장 연대사를 비롯해 환자 보호자가 대통령께 드리는 호소 영상 상영, 의료정상화를 촉구하는 국민 의견 청취 및 질의 답변, 한국 의료 심폐소생 퍼포먼스 등으로 구성됐다.

임 회장은 “정부는 14만 의료 전문가 단체의 대표인 저를 잡범 취급을 하며 고발했고, 경찰은 온갖 창피를 주며 사냥개 마냥 물어뜯으며 없는 죄도 만들어 내고 있다”며 “사직한 전공의들을 파렴치한 범죄자 취급했고, 마치 탈옥한 범죄자들에게 하는 것처럼 니들 갈 데 없으니 돌아오라고 한다. 이제는 전공의들, 학생들도 소환해가며 처벌 위협을 하고 있다. 이건 나치시대 게슈타포나 했던 짓”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저는 그동안 정부에 의료현장을 가장 잘 아는 의사들과 함께  의대정원과 의료정책에 대해 상의해야 한다고 누누이 얘기해 왔다”며 “하지만 정부는 전혀 의료현장의 말을 무시한 채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군부 독재를 방불케 하는 일방통행과 폭압적 탄압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특히 “6월부터 본격적으로 의료 농단에 대한 큰 싸움을 시작한다. 교수님들도 기꺼이 동의해줬다”며 “이제는 개원의, 봉직의도 본격적으로 이 큰 싸움에 나와줘야 한다”고 총파업을 의미하는 발언을 해 관심을 끌었다.

구체적인 방식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총파업 등 강경 대응 방침을 예고한 것이다. 다른 의료계 인사들도 강도 높은 발언을 이어갔다.

김교웅 의장은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신입생 정원 증원 발표는 의료의 질 유지와 발전으로 향하는 다리를 끊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이에 맞서 마지막 남은 하나의 희망이라도 잡아 회원과 함께 다리를 잇고, 국민들께 고하고 설득하면서 함께 그 다리를 안전하게 건너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정부에 공식적인 대화를 다시 한 번 정식으로 요청했다.

그는 “의대 정원 증원이라는 정책을 정해놓고 들어와서 얘기하자는 정부의 형식적인 언론플레이가 아니라, 의료 개혁의 실체인 필수 의료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출발점을 만들 수 있는, 그러한 항구적이고 지속적인 대화 협의체 구성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전했다.

황규석 서울특별시의사회 회장은 “34년 동안 외과의사로 살아오며 지금도 제가 가장 행복한 순간은 환자분들이 저에게 건네는 말 한마디”라며 “우리 국민들은 아직도 의사 선생님들을 믿고 존경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런 따뜻한 국민들의 시선을 되돌려 주면 우리 전공의나 학생들은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잘못된 정책에 방향을 바꿔주시고 우리 의사들과 전공의, 의대 학생들이 환자의 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정책을 바꿔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한편, 의협은 이날 서울 집회에 2000여명이 참석했고, 전날 춘천에서 열린 집회를 포함해 7곳 집회의 참석자가 모두 1만명이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집회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필요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