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가 증시 제약업종 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제약주들이 최근 불안한 주가흐름에 휩싸이고 있다.
이 같은 추이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서 미국측의 지적재산권 강화 요구가 예상보다 강도 높게 받아 들여질 것이라는 여론이 제기 되면서 국내 제약회사들의 제네릭 개발에 커다란 변수로 작용할 우려가 제기 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닷새 연속 약세로 돌아선 의약품 업종지수는 27일 유가증권시장에서 6일째 약세로 출발 했다가 지수 상승과 더불어 오후들어 전날보다 0.34% 오르는 등 일단 약세가 진정될 전망이다.
현재 의약품 업종지수는 지난해 하반기에 견실한 상승세를 보이다가 금년들어 4% 정도 하락, 실적호조에도 불구하고 다소 부진한 실정이다.
증시 전문가들은 의약업종의 약세와 관련, "의약품 등재·허가 제도의 변화와 관련된 한미 FTA 협상 쟁점 등이 불확실성으로 이어 지면서 장세가 불안정 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미국측이 FTA 협상에서 지적재산권 강화와 신약의 가격보장 방안들을 이슈로 제기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협상과정에서 미국측 요구가 수용될 가능성이 낮아보이지만 후유증으로 국내 제네릭 개발에 따른 환경변화와 약가정책의 변화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최근 무역위원회가 항암제 ‘젬시타빈’의 물질특허 침해를 이유로 일라이릴리사의 제소에 의해 신풍제약의 원료약품 수입 금지에 잠정적으로 제동을 건 것도 미국측의 지적재산권 보호 확대를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이번 무역위원회 조치에 신풍제약측은 시장규모가 크지도 않고 시제품 생산과 마케팅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진 조치라는 점에서 크게 우려할 만한 사안이 아니며, 단지 본격적인 발매시기만 늦추어졌을 뿐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무역위원회가 조치를 내린 사안은 앞으로 한미 FTA협상에서 미국측이 제기하는 특허권 보호확대를 위한 강력한 공세의 전초전이라는 점에서 추이가 주목된다.
이에 따라 증시에서는 한미 FTA 협상 등 정책변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제약업종에 대한 단기 투자의견은 ‘중립적’ 이나 오히려 이러한 환경 변수들이 마무리 되면 새로운 전환점도 마련 될수 있다는 점에서 중장기적 투자의견으로는 '비중확대' 유지의 자세를 보이고 있다.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6-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