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감염 되었다면 위암에 걸릴 확률은 2~5% 정도 높아지며, 아무 증상이 없어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감염 되었다면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는 결론이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연구로 지난해 노벨의학상을 수상한 호주 서호주대학의 베리 마셜(Barry J. Marshall) 박사는 8일 오전 한국언론재단 주최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현재 헬리코박터파이로리균에 감염 되면 위 점막에 상처를 입혀 만성 위염을 일으키며, 위점막이 얇아지는 위축성위염 등으로 진행되고 이 상태가 계속되면 위암이 발생하기 쉽다는 사실이 동물실험과 역학조사에서도 밝혀지고 있다.
마셜 박사는 위암환자 가운데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감염률은 15%에 달하며, 위암 유병률이 높은 한국과 상대적으로 낮은 호주를 비교하면 헬리코박터균 감염률이 높은 한국이 호주에 비해 20배 가량 위암 발생률이 높다고 밝혔다.
마셜 박사는 "무증상 헬리코박터균 감염환자도 치료를 받는 것이 좋으며, 암이 발병하기 쉬운 40~50대는 건강검진때 헬리코박터균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호흡기 검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헬리코박터균의 감염과 관련, "헬리코박터균 치료를 받은 사람이 다시 감염될 확률은 1% 미만으로 아주 낮으며, 키스 등을 통해서도 감염될수 있지만 이보다는 불결한 공중위생으로 감염될 가능성이 큰 만큼 깨끗한 식수를 사용하고 손을 자주 씻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셜 박사는 또한 헬리코박터균 치료에 유용한 식습관으로 비타민-C와 신선한 채소와 과일, 단백질 등 많이 섭취하도록 권고했다.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6-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