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협회는 5월부터 실시되는 한미간 FTA 의약품분야 협상과 관련, 제네릭 등 의약품 가격제도 등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고 3월중 대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지난번 정총을 계기로 제약협회에 발을 들여놓은 문경태 상근부회장은 2일 한미간 FTA가 국내 제약산업에 미치는 파장은 상당할 것이며, 회원사들과 대안 마련에 나서는 한편 복지부·외교통상부와도 협력하여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 하겠다고 밝혔다.
문 부회장은 "한미 FTA는 다른 나라의 체결 진행과정을 심사숙소 해볼 필요가 있으며, 호주의 경우 미국에서 참조가격제를 포기하지 않으면 협상하지 않는다고 압박하여 포기한 사례가 있어 제약업계도 한미 FTA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만반의 준비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부회장은 의약품 분야에는 전문가가 아니지만 3년간 미국대사관에서 근무, FDA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NIH에서 신약개발 R&D지원 정책 등을 인식할수 있었으며, 연금보험국장 재직당시 약가제도 개선등에 많은 노력을 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경험을 살려 제약협회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부회장은 실거래가제도 시행 1년만에 불합리한 제도로 판단, 폐지하여 10개월간 보직해임을 당한적이 있다는 소감을 피력, 제약업계의 우려를 불식 시키는데 힘쓰기도 했다.
제약협회 문 부회장은 3월중 한미간 FTA협상에 대한 준비작업을 통해 제약업계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6-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