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는 약가재평가와 사후관리에 따른 실거래가 위반으로 줄줄이 약가인하 사태가 벌어지자 리스크를 최소화 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제약업계는 설상가상으로 잇따른 약가인하 조치에 따른 차액 보상을 요구하는 약국가의 등쌀에 곤욕을 치를 것으로 보여 심각한 고민에 빠졌다.
약사회와 약국가는 정부의 잇따른 약가인하 조치가 발표되자 이로 인한 약가 차액의 피해보상 요구에 나서고 있어 제약회사들이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다.
제약회사들은 약국에 공급된 보험약품의 경우는 매출로 잡혀있어 차액보상이 어렵다는 입장아래 도매업소의 재고분에 대해서만 일부 보상을 검토하고 있어 보상요구를 둘러싸고 제약-도매-약국간 마찰이 야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약업계는 이번 보험약가 인하사태와 관련, 각사들의 입장이 다르다는 점에서 제약-도매-약국(×병의원)간 거래에 대해 부분적으로 일부 선별적인 보상이 이루어질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제약기업의 경우 일부라도 거래내역에 따라 미미하나마 일부 선별적 보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다국적 제약기업들은 보상 문제에는 언급을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다국적 제약사들은 정부의 보험약가 인하조치 이후 거래 도매업소에 인하된 가격으로 거래한다는 방침을 밝히고 재고분에 대해서는 반품형식으로 처리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약국이나 병의원에 대한 차액보상은 사실상 어려운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앞으로 보험약가 인하조치를 둘러싼 약가차액 보상 갈등은 제약회사-도매업소-약국간 거래관계에 따라 파장이 예상되고 있으며, 약가회가 개입하여 제약회사에 대해 압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이래저래 제약회사만 진퇴양난에 처할 것으로 전망.
한편 제약협회와 약사회가 약가인하 조치에 따른 차액보상에 대한 의견을 나눌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보상문제는 각 제약회사와 거래선간 문제라는 점에서 재고분에 대한 보상처리 문제가 거론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6-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