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내에 설립될 외국의 암전문 병원이 국내 의료수준을 향상 시키기 보다는 의료기관을 영리법인으로 만들어 상업화만 촉진 시킬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부산의료연대회의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등은 21일 오후 부산일보 강당에서 ‘경제자유구역내 외국 암병원 유치, 과연 바람직한가?'라는 주제로 열린 간담회에서 이 같은 의견을 주장했다.
이날 의료연대 등은 발제에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은 특성상 30~40대의 사무직 ×연구직에 종사하는 외국인들이 거주, 암 발생률이 낮고 부산지역 의료기관의 암 환자 충족률도 86%로 서울 다음으로 높아 지역 의료기관에서 암 환자 수요를 충분히 감당할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암 전문병원이 설립되어도 외국인 전문인력은 전체 인력의 10%에 불과하고 한국인에 흔한 위암은 국내 의료기술이 이미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여 외국 암 전문병원 설립 유치에 따른 이득이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의료연대등은 결과적으로 경제자유구역내 외국 암 전문병원 유치는 일부 내국인 상류층을 위한 병원으로 전락할 수 밖에 없어 병원이 배당과 수익을 쫓는 영리법인으로 운영돼 국내 의료체계의 상업화를 촉진 시키는 등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주장했다.
부산의료연대측은 “경제자유구역에 암 전문병원이 들어서면 수익성 창출을 위해 검증되지 않은 각종 첨단장비와 고급장비 도입 경쟁을 부추겨 국내 의료체계 전반을 흔들어 놓을수 있다”며 부작용을 우려했다.
이에 의료연대 등은 경제자유구역에 필요한 의료기관은 거주 외국인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적정한 의료의 질이 보장되고 경제적 부담이 낮은 공공의료기관으로 건강보험을 적용받으며 경제자유구역 인접 지역에 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희종 기자(hjkang@medifonews.com)
2006-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