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건강/웰빙

간경변증, 70세 미만 환자 감소 추세

남자가 여자보다 약 2배, 50대가 전체의 34.5%

70세 미만 간경변증 환자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간경변증(간의 섬유증 및 경화)의 건강보험 진료환자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3년 ‘간경변증’ 진료인원은 7만 6,038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남자는 63.6%, 여자는 36.4%로 남자가 약 2배 가량 많았고 연령대별로는 50대가 34.5%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5.9%, 40대가 16.2%, 70~79세가 15.6% 순이었으며, 50대~60대의 비율이 60.4%로 약 2/3 가량을 차지했다.

2013년 ‘간경변증’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152.1명으로 2009년 143.9명 이후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1.4%로 증가율은 크지 않았다.



성별로는 남자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이 2009년 187.1명에서 2013년 192.5명으로 0.7% 증가했고, 여자의 경우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이 2009년 99.9명에서 2013년 111.2명으로 연평균 2.7% 증가하여 여자의 증가율이 좀 더 높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지난 5년 동안 70세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증가율이 커지고 있지만, 70세 미만의 연령대에서는 증가율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0대와 20대의 증가율이 -11.5%, -14.5%로 타 연령에 비해 감소 폭이 컸던 반면, 80대 이상은 3.9% 증가했다. 여자 10대의 경우 연평균 증가율은 -17.8%로 감소폭이 가장 컸다.

2013년 ‘간경변증’ 건강보험 진료비(심사결정총진료비, 비급여제외)는 전체 약 1,046억 원이었고 남자가 약 653억 원, 여자가 약 393억 원으로 남자의 진료비 규모가 더 컸다.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전체의 경우 2009년 약 936억 원에서 2013년 약 1,046억 원으로 연평균 2.8% 증가했다.

이를 성별로 비교하면, 남자의 경우 2009년 약 600억 원에서 2013년 약 653억 원으로 연평균 2.1% 증가했고, 여자의 경우 2009년 약 336억 원에서 2013년 약 393억 원으로 연평균 4.0%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50대 미만에서는 연평균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10대에서 -21.9%로 감소율이 컸다. 50대 이상에서는 연평균 증가율이 증가하였고 80대 이상의 경우 지난 5년간 14.3%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최종원 교수는 ‘간경변증’의 정의, 증상, 치료방법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