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슈(대표이사 이자트 아젬)는 보건복지부로부터 공공형 정밀의료 연구인 KOSMOS II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바이오헬스 산업의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 단체 및 기관에 수여하는 ‘2025 바이오헬스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 유공자 포상’에서 복지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
KOSMOS II 연구는 국내외 기업의 협업을 통해 임상연구 및 데이터 분석을 함께 할 수 있는 산-학-연-병 협력 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국내외 기업들을 비롯한 각 연구 주체들이 분기별 미팅을 통해 밀접하게 소통하며 연구의 진행상황을 공유하고 당면 과제들을 함께 해결해 왔다. 주요 참여기업인 한국로슈는 연구에 필요한 치료제 신속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 및 보고서, 효율적인 다학제 종양 위원회(MTB) 운영을 돕는 툴을 제공하고,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네트워킹에 힘쓰는 등 국내 정밀의료 인프라의 핵심 구성 요소를 구축하는데 일조했다.
한국로슈의 이자트 아젬 대표이사는 “이 상을 수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주신 보건복지부에 감사드린다”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한종양내과학회, 대한항암요법연구회, 국립암센터와 KOSMOS II 연구를 위해 함께 협력할 수 있었던 것은 저희에게 큰 영광이었으며, 현재 치료 대안이 없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드릴 수 있다는 점에 고무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서 “한국로슈는 정부, 학회 등 여러 파트너와의 협력에 로슈의 우수한 과학적 역량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러한 역량을 모아, 치료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시스템 전반에 의미 있는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끝으로 “한국로슈는 혁신적인 환자 중심 솔루션을 가장 필요한 분들께 전하기 위해 한국 헬스케어 생태계 전반에서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KOSMOS II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대한종양내과학회(이사장 박준오), 대한항암요법연구회(회장 안진석),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가 공동으로 수행 중인 한국형 정밀의료 네트워크 연구이다. 유전체 기반 맞춤 치료 연구로, 진행성 고형암 환자 1000명의 임상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 의료계, 학계, 산업계가 밀접하게 협력하며 치료대안이 없는 환자에게 실질적인 치료 기회를 제공한 대표적인 연구 사례로, 각 기관의 전문성과 기술력을 결합해 환자 맞춤 치료의 기회를 확대하고 한국형 정밀의료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축적된 임상 및 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해 공공 임상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향후 보건의료 정책 수립과 신약 연구개발에도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