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토트렉세이트·레플루노마이드 등 약제 심방세동 발생에 영향 준다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항류마티스제 사용과 심방세동 발생 간 연관성이 밝혀졌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은 류마티스내과 안성수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김형우 교수,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한민경 교수 연구팀이 최근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0년에서 2020년 사이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가운데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새롭게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중 심방세동을 진단받은 환자군은 4배로 추출된 코호트 내 대조군과 비교 분석했다. 이는 항류마티스제가 심방세동 발생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고혈압, 만성 신질환, 심부전 등 기저 질환과 독립적으로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 결과, 10만8085명의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중 2629명(2.4%)에서 새롭게 심방세동 진단이 확인됐다. 항류마티스제의 종류는 환자의 나이, 성별에 따라 심방세동 발생에 다른 영향을 미쳤다.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의 사용은 전체 혈청 양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심방세동 발생을 감소시켰고, 레플루노마이드(Leflunom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