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뇌졸중학회(이사장 서울의대 배희준, 편집위원장 울산의대 김종성)가 12월 21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한국과총) 회장상을 수상했다. 대한뇌졸중학회는 2019년에 우수 학술활동 학술지 발간 특별상을 수상한 바 있다. 과총은 2019년부터 학술활동 우수성과 사례 발굴 및 공유를 통해 국내 학회 발전을 도모하고자 전체학회를 대상으로 학술지 발간, 학술대회 개최, 신진과학자 사업 등을 평가해 우수학회를 선정하고 있다. 대한뇌졸중학회는 2013년부터 영문 학술지 Journal of Stroke (이하 JOS)를 발간하고 있으며 JOS에는 매년 50여 편의 논문이 게재되고 있다. 현재 국내외 뇌졸중 주요 전문가들이 종설 및 원저를 투고하고 있고, 올해 발표된 2021년 영향력지수(IF, Impact Factor)는 8.632로 JOS가 기록한 지수 중 역대 최고 지수를 경신했다. 이 지수는 세계 뇌졸중 관련 학술지 중 3번째 높은 영향력 지수이다. 또한 대한뇌졸중학회는 2012년부터 2년마다 국제학회를 개최하고 있다. 국제 학회에는 국내외 연구자 500명 이상이 참여해 연구논문을 발표하고 세계 석학들의 강연이 진행된다. 2022년 10월에는 Internati
차 의과학대학교 조주영 교수(강남차병원 소화기병센터)와 이지윤 교수(차 종합연구원 수석연구원)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이 주는 ‘제32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매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국내 과학기술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학회 별로 가장 우수한 논문을 한 편씩 추천 받아 수상자를 결정하는 권위 있는 학술상이다. 강남차병원 소화기병센터 조주영 교수는 소화기질환을 내시경으로 치료하는 국내 최고 권위자다. 1999년 조기 위암의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을 국내에 도입했다. 복강경 외과수술을 융합해 최소절제로 위를 보전하는 하이브리드 노츠(Hybrid NOTES) 수술법을 개발하고 식도 이완불능증 치료를 위한 경구내시경 식도근층 절개술(POEM)을 도입하는 등 내시경 치료 발전에 힘썼다. 조주영 교수는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로부터 ‘내시경점막하박리술에 사용되는 내시경 수술도구를 다이오드 레이저로 대체할 수 있는가?(Diode Laser—Can It Replace the Electrical Current Used i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라는 논문을 추천 받아 수상자
“단순 행정명령으로 병상만 늘리는 것이 중환자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가 중환자의학을 전공하는 전문가들의 공통된 생각이다. 즉, 근본부터 해결되지 않으면 지금과 같은 중환자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거다. 순천향대부천병원 호흡기내과 백애린 교수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한민국의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7일 개최한 코로나19 중환자 증가 관련 온라인 공동포럼에서 현 중환자의료체계 문제로 “기존에도 중환자실은 부족한 인력으로 간신히 운영되고 있었다”라며 중환자 인력 문제를 가장 먼저 꼬집었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최소 1년 이상의 경력이 필요한데 높은 업무강도로 인해 사직률이 높고, 중환자 담당 의사 역시 수년간의 경험이 있어야 제대로 환자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중환자 의료인력 양성이 힘들다는 지적이다. 이에 백 교수는 당장 중환자 의료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중환자 치료 및 시술에 대한 충분한 수련경험이 있고, 복와위, 에크모 등 전문의와 상의하고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전공의가 필요하다”며 “타 진료과 전공의나 비중환자 영역 전문의의 코로나 중증병상 투입은 현실적으로 부적절하다. 내과 의국 출신의 군의관이 동원돼야 한다”고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현실화된 상황에서 일차의료, 중환자의학, 소아감염학, 정신건강의학 등 각 분야별 의학회 전문가들이 미래 감염병 대응과 의료수준 발전을 위한 여러 제언을 내놨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대한민국의학한림원-과학기술한림원은 9일 ‘코로나19와 우리나라 보건의료의 미래’를 주제로 제23차 온라인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한국일차보건의료학회 임종한 회장은 의료비용은 올라가는 반면 일차의료서비스 질은 좋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에 대한 점검과 함께 연계되고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했다. 임 회장은 “10년 동안의 우리나라의 의료비 상승 부분이 8.7%로 OECD 국가 중 제일 높게 나타난다. 전체 GDP 중에서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우리나라가 8% 정도에 이르러서 비용은 계속 증가하지만 일차의료의 질은 좋아지지 않고 만성질환 관리 수준은 떨어지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라며 “급격한 고령화와 더불어 고령인구의 비율이 늘어나고, 의료체계가 잘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건강불평등 상태는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임 회장은 “지금의 수련구조가 지역사회 필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수련구조일까 생각해보면 그렇지 못하다”며 “교육
지난 28일 정부가 5600만 명분의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해 이번 달부터 우선적으로 의료진과 고위험군부터 접종을 시작하겠다고 공식 발표한 가운데, 백신 접종이 시작되더라도 크고 작은 규모의 유행상황들은 계속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경계심을 풀지 않고 방역체계를 잘 유지해나가야 한다는 전문가 조언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한민국의학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29일 ‘COVID-19 백신 업데이트’를 주제로 온라인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자리에 함께한 전문가들은 이번 달부터 백신 접종을 시작하더라도 여전히 변이바이러스라는 변수가 자리하기 때문에 마스크 쓰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키고 정부는 방역체계를 허술히 해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고려의대 최원석 교수는 “집단면역이 형성되면 코로나19 유행이 사라질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다”며 “작은 규모의 유행들은 계속 일어날 수 있고, 이 바이러스는 사람만 감염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면에서 집단면역이 종식을 의미할 수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즉, 백신 접종이 어느 정도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코로나19 감염 환자 발생은 계속될 거라는 것. 이와 함께 최 교수는 학교와 의료기관이 감염 확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우일)는 17일 대한민국의학한림원(회장 임태환),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한민구)과 함께 'COVID-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 어디까지 왔나?'를 주제로 온라인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개회사로는 이우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과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이 나와 참석자들에 대한 감사와 함께 포럼을 통해 국민들이 위안을 받길 바란다고 전했다. 주제발표는신형식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이 ‘COVID-19 치료제 개발의 국내외 동향’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으며 이어황응수 대한백신학회 회장의‘COVID-19 백신 개발의 국내외 동향’과박혜숙 이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의‘COVID-19 치료제와 백신의 과학적 평가’ 순으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