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국내 코로나19 대응 최종 대응 목표에 대한 협의와 설정이 다시 이루어져야 하고, 국가적 차원의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왔다. 또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한 비대면 진료의 환자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정부에서 한시적으로 허용한 비대면 진료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0일 서울대학교병원 김종기홀에서 코로나19 진료현장에서의 경험을 공유하고 국내 공공의료시스템 및 비대면 의료의 역할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 자리서 서울대병원 김남중 교수는 “우리의 목표는 중증환자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라며 “특히 집단 밀집공간은 집단감염과 깊은 연관이 있고 청도대남병원 사례와 같이 의료기관과 요양병원에 감염병 환자 수가 많아지면 사망자도 늘어나게 되고 때문에 이 부분을 방어하는 것이 핵심이다”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문경생활치료센터 사례와 같이 113명의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민관군이 하나 되어 지원하는 등 우리나라 사람들은 뭉쳐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있다”며 “하지만 언제까지 문제해결 능력이 강할지가 고민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응 최종 목표에 대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