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분야에서 전 세계에서도 순위권에 들 정도로 실력이 출중한 국내 병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Newsweek)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스태티스타(Statista)이 ‘2025년 세계 최고의 전문 병원(World’s Best Specialized Hospitals 2025)’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종양학 분야에서 삼성서울병원이 세계 3위를 기록하며 국내 병원 중 가장 우수한 병원으로 선정됐고, 각각 ▲서울아산병원 5위 ▲서울대병원 8위 등을 기록함으로써 전 세계 병원 Top 10 병원 3곳이 국내 병원이 선정됐다. 또한, Top 50 병원으로는 국내 병원 중 연세대 세브란스병원(23위),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37위), 국립암센터(40위) 등이 뽑혔고, 분당서울대병원은 57위 기록하면서 Top 50에 포함되지 못했다. 이어서 국내 병원 중 유일하게 비수도권에서 화순전남대병원이 116위를 기록하며 종양학 분야 Top 200에 선정됐으며, ▲강남세브란스병원 161위 ▲한국원자력의학원 162위 ▲고대 구로병원 170위 ▲아주대병원 190위 등이 뽑혔다. 아울러 ▲고대 안암병원(202위) ▲건국대병원(225위) ▲가톨릭
충남대병원 소화기내과 은혁수 교수팀(대구보건대학교 이태희 교수팀)의 혈중 세포유리 DNA를 활용해 간암의 조기진단 및 예후 평가로 바이오마커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규명한 ‘간세포암종에 혈중 세포유리 DNA를 사용한 머신러닝 기반 임상 바이오마커’ 논문이 종양학 분야 국제저명 학술지인 『Cancer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은혁수 교수팀은 간암 환자, 간경변증 환자, 알코올성 간염 환자, 정상 대조군 환자 등 각 군 환자들의 혈중 세포유리 DNA를 측정해, 간암 환자군에서 특이적으로 발현 증가가 관찰됨을 확인해, 간암 진단의 바이오마커로서의 활용성을 증명했다. 또한, 세포유리 DNA의 발현과 머신러닝 기법을 접목해 새로운 마커인 cfDHCC를 활용함으로써 간암 환자의 재발 및 치료반응에 대한 평가에도 활용할 수 있음을 입증해 예후 및 치료 효과 평가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은혁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초기에 발견이 어려운 간암 환자들의 조기 진단과 예후 및 치료 반응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라고 말했다. 은혁수 교수는 향후 멀티오믹스기법과 머신러닝을 접목해 보다 더 세분화된 간암 진단 및 예후·치료효과 모니터링을 위한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