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효과 약물 이용 ‘고해상도 생체현미경 영상 기술’ 개발
신약 후보물질과 의료기기 결함 등을 걸러내기 위한 전임상시험에서 사용되는 소동물의 살아있는 조직과 세포를 실시간 관찰할 수 있는 생체현미경 영상을 고해상도로 얻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은 융합의학과 김준기 · 마취통증의학과 김성훈 교수팀은 진정효과가 있는 덱스메데토미딘 약물을 소동물에 주입해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생체현미경으로 고품질의 형광 생체 조직 영상을 획득하는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전임상시험에서 소동물의 생체현미경 영상을 얻으려면 마취가 필수이나, 마취 상태에서도 소동물은 호흡과 폐순환을 이어가므로 영상을 얻으려는 조직 내에 비자발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생체현미경 영상의 초점이 맞지 않거나 형광 신호가 균일하지 않게 되면서 영상의 해상도가 떨어질 수 있다. 그동안은 접착제나 여러 가지 고정 장치(스트로보스코피, 클램프, 핀, 정위 마운트), 영상의 운동보상 알고리즘과 같은 해결책을 써왔지만, 이 방식들은 현미경의 광학 설정을 변경하거나 데이터를 왜곡시킬 우려가 있으며 추가 수술로 이어질 염려도 있다. 이에 연구팀은 이광자 여기 현미경(two-photon excitation microscopy)과 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