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정원 증원 규모와 지역별·의대별 신규 증원 규모를 발표한 가운데, 의대정원 증원에 앞서 늘어난 의대생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교육시설 신설·증축에 필요한 일정과 자금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등에 대해 고민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제기됐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3월 20일 줌회의를 통해 ‘전의교협에서 이제 소통을 시작합니다’를 주제로 브리핑을 개최했다. 이날 조윤정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홍보위원장(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의회 의장)은 의대정원 증원에 앞서확보·고려해야 할 의학교육 기반 마련에 대한 심각성을 주지시켰다. 먼저 조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문제의식은 적합하다며,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붕괴는 오랫동안 논의됐던 일로, 대통령이 이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노력하는 모습은 감사하다”고 밝히는 한편, 이번 의대정원 증원 문제는 의대 교육의 현장과 연계돼 있는 사안인 만큼 단순한 한마디로 끝낼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조 위원장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전통적 대규모 강의실’은 교수 1인이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기 때문에 대규모 이론 교육에는 적합하나, 강연자와 학습자 사이에서 대화 및 토론이 불가능하고 학
병원계가 의대 정원 확대는 의학교육의 질이 보장되는 수준에서 이뤄져야 한다면서 정부를 향해 의대증원 규모 재고를 촉구했다. 6일 대한병원협회에 따르면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방안과 관련해 대한병원협회, 사립대학교의료원협의회, 대한사립대학병원협회, 대한중소병원협회, 국립대학병원협회, 대한전문병원협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이 같은 입장을 발표했다. 먼저 병원계는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정원 대규모 증원 발표와 관련해 “의료계와 적극적인 협의 없이 추진되는 점에 대해 매우 당황스럽고 참담한 심정이며, 이로 인해 앞으로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국가 미래의료, 인구감소, 이공계열 및 기초과학 분야의 인재 이탈 등 다양한 사회적 영향의 종합적인 검토와 의료환경의 변화를 감안해 적정하고 합리적인 수준에서 단계적으로 의대 증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병원계는 현재 우리나라 의과대학 여건을 감안해 보더라도 의학교육의 질이 충분히 담보될 수 있는 수준인지 전문가의 의견을 더욱 경청해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의학교육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 양질의 의사를 양성해야 하며, 이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건강사회개발원(원장 조비룡)이 ‘의사인력양성정책과 의학교육’을 주제로 11월 29일(수) 오후 2시에 ‘제5회 SNU Medicine Forum’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행정관 3층 대강당에서 진행되며, 오프라인 참석이 어려운 대상을 위해 사전등록 신청자에 한해 포럼라이브 시청이 가능하다. 포럼 주제 발제는 2명의 발제자가 나눠서 발표한다. 첫 번째 발제는 ‘한국의 의사인력양성정책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서울의대 휴먼시스템의학과 홍윤철 교수가 발표한다. 이어지는 두 번째 발제는 이종태 인제의대 KAMC 정책연구소장이 ‘의학교육의 변화: 다가올 도전과 기회’를 주제로 발표한다. 패널토론은 박중신 서울대병원 진료부원장 및 한국의학교육학회 회장을 좌장으로 권정현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문석균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부원장, 박완범 서울의대 의학교육실장, 박재일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장, 김철중 조선일보 기자, 정경실 보건복지부 정책기획관 등이 참석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조비룡 서울의대 건강사회개발원장은 “필수의료, 지역의료에 종사할 의사인력양성을 위한 정책과 이를 위한 의학교육을 어떻게 하면 될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