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은 잘못된 안전상식으로 각종 안전사고 시 피해가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잘못된 안전상식 바로잡기’ 기획 홍보를 추진한다. 18일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뱀물림 사고로 인한 구급출동 건수는 816건이며, 지역별로는 경북 133건(16.3%) > 강원 110건(13.5%) > 경기 109건(13.4%)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고발생 장소는 밭 276건(33.8%) > 집(마당) 140건(17.2%) > 길가 67건(8.2%) > 산 50건(6.1%) 등의 순으로, 주로 밭일과 풀을 베는 작업 중에 많이 물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의 남녀 성비는 각각 ▲남성 419명(51.3%) ▲여성 389명(47.7%)으로 비슷했다. 연령별로는 51세 이상이 654명으로 전체 연령의 80.1%를 차지했으며, 하루 중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하는 시간은 저녁 6시~9시 사이인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 잘못된 응급처치로 상태가 더 악화된 건수도 5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못된 응급처치로는 ▲뱀에 물린 부위의 윗부분을 꽉 묶기 ▲독사 여부 확인을 위해 뱀을 잡는 행위 ▲입으로 물린 부위 빨아내거나 돼지비계로 문지르기
정부가 3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등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보건복지부는 의료기관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11월 10일부터 12월 9일까지 30일간 지자체와 함께 일정 규모 이상의 의료기관들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점검 대상은 3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및 종합병원이다. 해당 시설들은 면회객, 외래환자 및 거동불편 환자들의 이동이 많아 인파 사고·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다중이용시설이다. 이번 안전점검은 3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과 종합병원 등 총 337개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합동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점검 항목은 총 7개 분야 32개 항목이다. 항목별로는 ▲시설규격 준수사항(허가시설규격 준수, 비상장치 설치 여부 등) ▲안전관리 일반사항(안전관리 책임자 지정, 비상연락체계 마련 여부 등) ▲정전사태 대비(자가발전시설 설치 여부) 등을 점검한다. 또한, ▲환자 대피 및 이산 대책(환자 대피계획 수립, 대피경로 확보 여부 등) ▲교육·훈련 대처방법(안전교육 실시 여부 등) ▲소방분야 점검(소방계획서 작성 및 업무수행 여부 등)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