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진(대표 최석근)이 상업용 보툴리눔 톡신 제제(일명 보톡스)의 핵심이자 필수 요소인 ‘보툴리눔 톡신’을 유전자 재조합으로 제조에 성공한 기술 관련 비독점 라이센싱 아웃(L/O)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은 보툴리눔 톡신(독소)을 분비하는 그람 양성 혐기성 세균으로, 기존 제조 공정에서는 야생형(wild-type)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균주를 직접 배양해 독소를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아이진이 올해 5월, 바이오 플랫폼 개발 기업 엠브릭스로부터 라이센싱 인(L/I)을 해, 미용 용도의 전 세계 독점 개발 및 판권을 소유한 ‘유전자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제조 기술’은 독소 단백질을 대장균(E.coil)에서 발현시키는 독자적인 생산 방식이며, 기존의 일반적인 A1 타입의 보툴리눔 톡신 타입이 아닌 각 서브타입(A1, A2, A6 타입)의 일부 도메인을 신규로 조합해 최적화한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A novel, recombinant BoNT)을 구현해 낸다. 엠브릭스를 공동 창업한 권대혁 CTO(성균관대 융합생명과 교수)는 “원하는 타입의 독소를 자연계에서 다양하게 얻
아이진(대표이사 최석근)이 유바이오로직스가 개발 중인 ‘수막구균 4가’ 백신의 허가 임상 개발 및 독점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아이진은 ‘수막구균 4가’ 백신의 국내 허가 임상 후 품목 허가를 획득해, 2027년부터 한국, 중국,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 및 PAHO(범미보건기구)를 비롯한 중남미 시장에 순차적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PAHO는 중남미 가입 국가들의 백신 수급을 맡는 세계보건기구(이하 ‘WHO’) 산하 국제기구로서 유니세프와 함께 세계 최대의 백신 수요처로 알려져 있다. 아이진의 조해림 개발 본부장은 “이번 수막구균 4가 백신 기술 도입은 다년 간 축적된 백신 개발 경험을 토대로 국내 임상 3상 및 품목 허가를 진행한 이후, GMP 설비를 보유한 한국비엠아이와 협업해 직접 생산과 매출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초기 임상 단계의 기존 파이프라인들보다 빠르게 회사 매출과 수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수막구균은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대표 원인균으로 비말 또는 직접 접촉 등을 통해 전파되며 수막구균이라는 세균이 뇌를 둘러싼 얇은 막과 뇌 사이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혈액을 감염시켜 전신에 염증을 일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