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돌봄놀이터’ 사업 결과, 아동의 비만율 감소와 더불어 식생활 개선, 신체활동의 증가 등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아동 비만 예방 사업인 ‘건강한 돌봄놀이터’의 2021년 운영 결과, 이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23일 밝혔다. ‘건강한 돌봄놀이터’는 전국의 보건소를 통해 초등학교 및 지역아동센터에서 운영하는 아동 비만 예방 사업으로, 참여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형 영양 교육과 신체활동 프로그램 등 비만 예방을 위한 건강 생활습관 형성 교육을 제공한다. 참여 아동의 사전·사후 신체계측 결과와 신체활동 및 식생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번 사업에 참여한 아동들의 비만군율이 감소했고, 신체활동이 증가했으며, 식생활 습관이 개선됨은 물론, 사업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비만 및 과체중 아동 비율은 기존 33.3%에서 사업 참여 후 30.5%로 약 2.8%p 감소했다. 특히 해당 사업에 12회 이상 참여한 아동의 경우 비만 및 과체중 비율이 기존 35.6%에서 사업 참여 후 31.2%로 약 4.4%p 줄었다. 또한, 신체활동 행태의 경우 사업 참여 후 하루 1시간 이상 운동하는 아동은 6.
코로나19 유행 이후 청소년의 흡연‧음주는 개선됐으나 식생활과 비만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활용해 코로나19 유행 전‧후 청소년의 건강행태 변화에 관한 심층분석 결과를 ‘국민건강통계플러스’ 현안보고서를 통해 29일 발표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이후 현재흡연율과 현재음주율은 감소했으며, 유행이 지속된 2021년은 2020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 아침식사 결식률은 지속 증가하고, 과일섭취율은 감소하는 등 식생활 지표는 유행 전‧후로 나빠졌으며, 비만율은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면서 더욱 증가했다. 특히 성별, 학교급별로 건강행태 변화를 살펴보면 흡연·음주 지표는 남자 고등학생(흡연율 –4.1%p, 음주율 –7.4%p)에서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표는 남녀 중‧고등학생에서 모두 나빠졌고, 신체활동 지표는 유행 전·후로 남자 중학생에서 감소했으나, 유행이 지속되면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만율은 남학생(중 4.4%p, 고 2.7%p)에서 유행 전‧후 증가 폭이 컸으며, 유행 1~2년차에도 지속 증가했고, 우울감 경험률은 유행이 지속되면서 중학생(남 3.9%p, 여 2.0%p)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