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형당뇨병 환자에서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이 동반될 경우,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과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비당뇨병 환자보다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내분비내과 김경수 교수팀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4월 1일 밝혔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김경수 교수,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홍상모 교수, 숭실대학교 한경도 교수, 성균관대학교 강북삼성병원 박철영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해 2형당뇨병 환자에서 비알코올지방간질환과 심혈관질환 발생을 비롯해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과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연구는 2009년에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779만6763명(2형당뇨병 비환자 729만1000명과 2형당뇨병 환자 50만5763명)을 ▲지방간질환이 없는 환자군 ▲경도(grade1) 지방간질환 환자군 ▲중등도(grade2) 지방간질환 환자군으로 구분해 8.13년 동안 추적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심혈관질환 및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에 대한 5년 절대위험도는 지방간질환이 없는 환자군, 경도 지방간질환 환자군, 중등도 지방간질환 환자군 순으로 증가했다. 특히 2형당뇨병 환자는 비당뇨병 환자와 비교하여
최근 다국적 간학회에서는 기존 간질환 발생에 특화된 비알코올지방간 질환(NAFLD)을 대신해 간 지방증이 있고,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인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5가지 위험인자 중 최소 1가지 이상을 가진 환자를 ‘대사이상지방간질환(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MASLD)’으로 새롭게 정의했다. 이후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서울대학교 김원 교수를 중심으로 1저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문준호 교수와 차의과학대학교 정석송 교수로 이뤄진 연구팀이 새 기준을 사용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성을 분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대사이상지방간질환자(MASLD)에서 심혈관질환 발생위험 분석을 위해 건강보험공단의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35만 명(47-86세)을 평균 9년 동안 추적한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지방간이 없는 사람들 대비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이 있는 경우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19% 증가했고, 특히 중등도의 알코올만을 섭취해도 그 위험도가 28%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지방간이 있는 경우 알코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