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에게 비알코올성 지방간 있으면 자녀에게도 발병할 위험↑
부모 중 누구라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으면 자녀 역시 지방간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은 소화기내과 곽금연·신동현 교수와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박예완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9년 사이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2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 1737곳(부모 3474명과 자녀 2335명)의 자료를 기반으로 부모 중 어느 한쪽이라도 지방간이 있으면 그 자체를 위험 요소로 보고, 연구팀은 실제 자녀의 지방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부모에서 자녀로 이어지는 지방간의 연결 고리가 뚜렷한 것으로 드러났다. 먼저 지방간이 없는 부모를 둔 자녀(1,336명)의 지방간 유병율은 3.1%에 그친 데 반해, 부모가 지방간이 있는 자녀(999명)의 경우 유병율이 10.2%로 껑충 뛰었다. 이는 부모의 지방간 유무에 따라 자녀들의 지방간 유병 위험을 통계적으로 예측한 값 역시 마찬가지로, 부모 모두 지방간이 없는 자녀와 비교하여 부모 중 어느 누구라도 지방간이 있으면 1.75배, 부모 둘 다 지방간이 있으면 2.6배까지 자녀의 지방간 발병 위험이 증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