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하는 의료환경에서 암다학제 진료 유지와 발전 방안’이라는 주제로 암 다학제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대한병리학회는 ‘대한병리학회 제76차 가을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11월 6일 밝혔다. 이날 정희철 대한종양내과학회 다학제협력위원장은 지난 20여년 동안 암 다학제 진료는 암 환자의 표준치료법으로 정착돼 가고 있으며, 암 환자의 치료 결과 향상과 진료지침 준수 등의 장점이 있으나, 최근 암 환자 발생률 증가 및 종양내과의 낮은 인기와 적절한 보상 부재로 인한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했다. 이어 모든 암환자를 대상으로 다학제 진료를 시행하는 것보다 다학제 진료를 통해 환자의 진료 방침을 결정해야 하는 복잡하고 중증도 높은 환자를 중심으로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환자 없이 다학제 회의를 통해 진료 방침을 결정하거나 여러 병원이 참여하는 암 다학제진료, 인공지능과 같은 새로운 기술 도입 등의 시도들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장기택 대한병리학회 기획이사는 암 환자에 대한 다학제 진료에서 임상의사들 뿐만 아니라 ▲영상의학과 ▲병리과 ▲방사선종양학과 등 다른 분야 의사들의 참여가 중요한데, 이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토의하는 데에 제약이 있어 비대면 참여가 필요함을 지
대한종양내과학회(이사장: 박준오)와 대한병리학회(이사장: 한혜승)가 국내 암 치료에 있어 중요한 정밀의료 가이드라인을 공동으로 개발해 발표했다. 정밀의료는 개인의 유전정보, 생활환경 및 임상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해 맞춤형 예방, 진단, 치료를 제공하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으로, 특히 암 치료 분야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다. 2017년부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이 의료보험 선별급여 대상으로 적용되면서 한국에서도 본격적으로 정밀의료 시대가 열렸다. 이를 통해 많은 암 환자들의 치료 성과가 크게 개선됐으나, 매년 새로운 항암제가 출시되면서 의료진과 환자 모두 정밀의료의 최신 흐름을 따라가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대한종양내과학회와 대한병리학회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해 임상진료 권고안을 발간했다. 권고안 개발을 주도한 암정밀의료사업단의 김지현 교수(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와 대한병리학회 김완섭 교수 (건국대학교병원 병리과)는 이번 권고안에 대해 “이번 권고안은 진행성 및 전이성 고형암 환자들에게 NGS 기반 유전자 패널검사를 권장하고 있다”며,“이는 NGS, 즉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통해 환자의 암 유전체를 분석하고, 이를
오는 10월 2~4일 3일간 서울 세종대학교 광개토관에서 'ASDP 2024 서울 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된다. 이번 학술대회는 Asian Society of Digital Pathology (ASDP)에서 주최하고 대한병리학회에서 주관하는 디지털 병리 및 인공지능(AI) 기술의 최신 동향과 발전을 논의하는 자리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모여 지식과 경험을 공유한다. ASDP는 아시아의 디지털병리와 AI 관련 의료 연구·산업 발전을 위해 2024년에 창립돼 싱가포르에 등록된 비영리 학회로서 서울에서 제1회 학술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ASDP는 미국 디지털병리협회(DPA)와 유럽 디지털병리학회(ESDIP)와 상호협력협약을 체결해 학술대회 프로그램도 상호 협력하고 있으며, 이번 학술대회는 아시아, 미국, 유럽의 11개국 이상에서 각 나라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명성을 지닌 연구자들이 강연자로 대거 참가한다. 학술대회의 첫째 날, 일본 나가사키대학교 Junya Fukuoka 교수가 초대 ASDP 회장으로서 ASDP 소개와 역할에 대한 기조 강연을 시작한다. 이어서 아시아의 디지털 병리 및 AI 현황과 가이드라인을 비롯해 ▲미국, 유럽, 아시아 연합 학회 심포지엄 ▲디지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장기택 교수가 지난 10월 25일 대한병리학회 제75차 가을학술대회 평의원회의에서 제17대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장기택 교수는 대한병리학회 가을학술대회 평의원 회의에서 투표 과정을 거쳐 ‘차기 이사장’으로 선출, 10월 27일 총회에서 차기이사장으로 승인됐다. 차기 이사장 임기는 2025년 1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2년이다. 대한병리학회는 1946년 ‘조선병리학회’ 라는 명칭으로 국내 기초의학학회로서는 2번째로 창립된 학회로, 병리학의 연구와 보급을 촉진하고 회원 간 병리학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립됐으며, 2023년 현재 1200여명의 회원을 보유한 주요 학회다.
영남대병원 병리과 최준혁 교수가 지난 25~27일 3일간 The-K호텔서울에서 열린 대한병리학회 제75차 가을 학술대회에서 대한병리학회 제78대 차기 회장으로 선출됐다고 30일 밝혔다. 임기는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이다. 차기 대한병리학회 회장을 맡게 된 최준혁 교수는 영남대 의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의학석사와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Mayo Clinic에서 골종양, Brigham and Women’s Hospital에서 연부조직종양, Mount Sinai Hospital에서 간병리 연수를 받았다. 이와 함께 대한병리학회 산하 골 및 연부조직병리연구회 대표와 대한병리학회 대구경북지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저서로는 ‘간추린 병리학’, ‘알기 쉽게 간추린 병리학’등이 있으며, 최근에도 ‘간세포암의 조직학적 및 분자학적 분류의 발전(Advances in Histological and Molecular Classific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을 주제로 한 논문을 국제적 학술지 ‘BIOMEDICINES’에 게재하는 등 활발한 학술 활동을 통해 병리학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2023년 대한병리학회 제75차 가을학술대회가 개최된다. 대한병리학회는 추계학술대회를 ‘Pathology, together again’을 주제로 2023년 10월 25~27일 3일간 The-K호텔서울에서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대한병리학회는 회원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로 평의원회, 상임이사회, 각종 위원회, 연구회 등의 모든 활동이 차질없이 운영됐으며, 봄학술대회, 학술지 발간, 연수교육, 전공의 수련, 정도관리, 보험 업무, 국제 협력 등의 분야도 원만하게 진행됐음을 보고했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는 내년에 추진하고자 하는 학술대회 국제화의 일환으로, ‘위장관계의 형성이상- 샘암종 진단의 동서양의 관점(Diagnosis of dysplasia-adenocarcinoma in GI tract: eastern vs. western perspectives)’을 주제로 한 국제 세션을 27일 오전에 오프라인-온라인(생중계) 혼합 형식으로 개최된다. 일본 시가대학의 쿠시마 료지(Ryoji Kushima) 교수, UC 샌프란시스코의 최원탁(Won-Tak Choi) 교수, 알바니 메디컬 센터의 제니 리(Jenny Lee) 교수가 고려의대 김백희 교수와 함께 발
의료 정보 시스템의 미전환 영역으로 남은 병리의 디지털화가 탄력을 받을 수 있을까. 대한병리학회(한혜승 이사장)와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유철욱 회장)가 한국로슈진단의 후원으로 7월 19일 국내 디지털병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정책간담회는 ‘디지털병리, 대한민국 암관리에 앞장섭니다’를 주제로 학계와 산업계가 모여 국내 디지털병리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디지털병리는 디지털 스캐너를 이용해 병리학적 슬라이드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해 저장하고, 그 이미지를 병리학적 진단에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병리는 의료환경의 효율적인 개선으로 의료 질 향상을 통해 환자 건강에 기여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병리진단 기술에 혁신을 가져와 환자 맞춤 치료 실현의 초석 역할을 하고 있다. 이날 디지털병리는 병리학과 전문의 감소로 인한 업무 과다를 해결하고 진단 업무의 효율성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이 돼, 국내 의료 소프트웨어의 적용 및 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소개됐다. 정책간담회를 공동주최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유철욱 회장은 “국내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암 치료의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병리과 임광일 교수가 지난 2~4일 기간 진행된 제74차 대한병리학회 가을학술대회에서 의함학술상을 수상했다. 의함학술상은 대한병리학회에서 지난 2005년부터 젊은 병리학자를 위해 마련한 상으로, 전년도와 당해 연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우수 논문에 수여하는 학술상이다. 최근 위암에서는 내시경적 절제를 치료법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그 적응증을 좀 더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임광일 교수는 대장암에서는 내시경적 절제 후 수술 적응증으로 종양 싹 종양싹(tumor budding): 샘구조를 만들지 않으면서 종양세포가 1-4개까지 모여 있는 구조물, 상피간엽이행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과 연관관계가 깊다.이 쓰이는 것에 착안하여, 위암에도 종양 싹의 도입을 꾀했다. 그 결과, 기존에 알려진 여러 가지 임상병리 인자들보다도 높은 수술 적응증 예측 능력을 보였으며, 특히 위암에서는 반지고리암이 저응집암종 보다 예후가 좋다는 점을 고려해 반지고리 형태를 제외한 종양 싹을 도입, 기존의 종양 싹보다도 월등한 예측 능력을 보였다. 임광일 교수는 “종양 싹은 종양미세환경의 일부로, 종양의 침범과 전
같은 성능과 같은 기능을 하는 동반진단의 경우 적응증을 확장해줘야 한다는 의견이 제안됐다. 지난 14일 대한병리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최윤라 교수가 ‘국내 동반진단 적용 제안’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최 교수는 먼저 “바이오마커에 있어 중요한 것은 정확성은 물론, 표준화, 적절한 가격 그리고 level of evidence”라고 선정하며 “Assay validation시에는 민감도, 특이도, 재현성 등이 중요하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어 진단에 대해 ‘LDT’, ‘IVD’, ‘Complementary Dx’, ‘CDx - Follow-on CDx’로 구분했는데, 뒤로 갈수록 Level of evidence와 validaton 정보, 가격이 높아진다고 했다. 면역항암제인 펨브롤리주맙 성분 키트루다의 경우 항체를 활용했는데, 시중에 구입할 수 있고 심지어 할인까지 되지만 이를 시중에서 구매하지는 않는다. 똑같은 재료여도 항체를 validation해 evidence를 만드는 과정에서 그 가치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는 진단의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다. 단순한 항체 재료비 자체가 아닌, 동반진단이 가지는 가격은 Validation과 evidence가
국내 동반진단의료기기(IVD-CDx)의 허가 건수가 총 26건으로 확인됐다. 14일 대한병리학회 학술 대회에서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기기심사부 체외 진단기기과 안영욱 연구관이 동반진단의료기기의 허가 제도에 대해 밝혔다. IVD-CDx는 체외진단의료기기법에 따라 특정 의약품 처방 시 치료효과 또는 심각한 부작용이 예상되는 환자를 선별하거나 투여량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체외진단 의료기기를 말하는데, 의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IVD를 의미하기도 한다. 안 연구원은 IVD-CDx의 구분에 대해 “특정 의약품의 치료에 있어 환자의 적격성을 확인하는 것, 심각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환자를 구분하는 것, 의약품의 치료에 있어서 치료의 일정이나 복용량·복용 중단을 결정할 수 있는 치료 모니터링적 IVD가 CDx에 해당된다”고 분류했다. Pharmacogenetics와 TDM과 구분짓기도 했다. IVD-Cdx는 약물의 반응성에 대해 예측의 성격이 강하고, TDM은 약물을 복용 후 약물이 잔류 약물이나 대사 산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비교했다. Pharmacogenetics의 경우 분자 진단의 플랫폼에서 제한되고 있으나 CDx는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