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습성 수막구균은 초기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빠르게 진행해 적절한 시기에 진단, 치료가 어려울 수 있고 사망률이 높은 데다가 치료가 되더라도 후유증으로 여러 고통을 안겨 백신 사용이 중요한 질환이다. 전세계적으로 수막구균 질환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가운데 시기와 지역에 따라서 호발하는 혈청군이 상이한데, 우리나라는 이 중에서도 B형이 중요한 혈청형이다. 제23차 대한백신학회 춘계학술대회가 29일 가톨릭대학교 옴니버스파크에서 개최됐다. 이 날 GSK가 후원한 Satellite symposium에서는 B형 수막구균 백신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이 마련됐다. 발표는 인하의대 감염내과 이진수 교수가 맡았다. 수막구균은 ‘급성 감염병’으로 수막염 또는 패혈증을 일으키는 중증 질환 중 하나다. 대부분 생후 7개월 이내에서 매년 전세계 50만건의 세균성 뇌수막염이 발생하는데 이 중 5만명이 사망한다. 특히 증상 발생 24시간 이내 사망할 수 있으며 상기도 감염으로 오인할 수 있어 진단이 쉽지 않다. 이진수 교수에 따르면 수막구균 뇌수막염은 출혈성 발진, 목 경직 또는 통증, 광선 공포증, 천문 돌출 (1세 미만 영아) 및 뇌수막증이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아울러 수막구균은
대한백신학회가 2024년 제23차춘계학술대회를 가톨릭대학교 옴니버스파크 컨벤션홀에서 29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Immune memoryafter viral infection and vaccination △challenge of vacine in veterinary field,Vaccines for the global threats, Pediatric vaccination issues를 주제로4개 세션이 마련됐다. 또한 B형 수막구균 백신을 소개하는 Satellite 프로그램이 구성됐다. 대한백신학회 최은화 회장은 “면역학,미생물학, 임상의학, 역학, 보건정책에 관심있는 분들의 활발한 토론을 통해 백신 연구와 학제간 융합연구 발전의 토대가 되도록 최선을 다해준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