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문제가 됐던 필수의료 진료과목 중 하나인 소아청소년과에 지원한 레지던트와 비수도권 지역의 병원 레지던트 선발인원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4년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전기모집 선발’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결과는 지난 12월 4~6일 3일간 접수가 진행된 전기모집 수련병원의 레지던트 1년차 선발 결과로, 총 144개 병원에서 3356명의 모집을 진행해 레지던트 필기시험과 면접 등을 거쳐 2792명이 선발됐다. 전체 확보율은 83.2%로 전년(82.1%)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최근 3년(’22~’24)간 전기모집 확보율은 2022년 79.7% → 2023년 82.1% → 2024년 83.2%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 수련병원의 레지던트 수가 확대됐는데, 비수도권 지역에서 선발된 레지던트는 1101명으로 전년(968명) 대비 133명(13.7%) 증가했다. 과목별로 살펴보면 소아청소년과는 2023년 모집인원 204명 중 선발인원이 36명(확보율 17.6%)이었으나, 2024년에는 모집인원 206명 중 54명(확보율 26.2%)으로 선발인원이 전년 대비 18명 증가했다. 또한, 외과는 2023
2024년도 상반기 레지던트(1년차) 필기시험부터 시험 방법이 기존 OMR카드 기입 방식의 지면 시험에서 태블릿 PC 기반으로 변경 시행된다. 대한병원협회는 올해 12월 처음 시행되는 태블릿 PC 기반 필기시험은 해당 응시자가 고사장에서 배부되는 태블릿 PC를 이용해 제시되는 시험 문제를 확인하고, 태블릿 PC 화면을 터치해 답안을 입력해 제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11일 밝혔다. 태블릿 PC 기반 레지던트 필기시험의 문항 수는 총 100문항이고, 시험시간은 120분으로 지면 시험과 동일하다. 필기시험 응시자 교육자료는 대한병원협회 수련환경평가본부 홈페이지(sinim.kha.or.kr) - 자료실 - 지침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태블릿 PC 사용 방법, 문제 풀이 기능 사용법, 답안 제출 방법 등을 알 수 있다. 한편,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사무국에서는 지난 9월 레지던트 필기시험 방법 변경에 대해 각 수련병원 및 대한전공의협의회에 안내하면서 수련중인 인턴 및 향후 레지던트 필기시험 응시 예정자에게 홍보를 요청한 바 있다. 2024년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수련을 개시하고자 하는 대상자는 2023년 12월 실시 예정인 레지던트 필기시험에 응시해야 한다. 2
‘유튜브(YouTube)’를 개설하지 않은 대학병원들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대부분의 병원이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 운영 중이다. 올해 들어 개설한 병원만 7곳이다. 아주대병원은 지난 4월까지만 해도 유튜브를 운영하지 않다가 7월 28일 새로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개설한 지 얼마 되지 않아 구독자는 2250명에 영상은 47개로 다른 병원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병원 관계자들이 직접 영상 제작에 참여한 ‘아주대병원TV UCC 공모전’ 콘텐츠는 인기를 끌었다. 을지대병원도 채널을 운영하지 않다가 지난 5월 6일 ‘을지TV’를 개설했다. 을지TV는 의정부을지대병원과 을지대 의정부캠퍼스 개원·개교의 공식홍보를 취지로 개설돼 의정부 소식뿐만 아니라 노원을지대병원, 대전을지대병원, 을지대학교의 소식들을 통합해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개원에 거는 바가 큰지 의정부을지대병원 건축과정 영상, 의정부을지대병원 윤병우 초대 병원장 취임식 영상 등이 업로드됐다. 의정부을지대병원은 내년 3월 개원을 앞두고 있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은 4월 23일 채널을 개설한 이후 병원 홍보영상을 시작으로 ‘생생건강토크’라는 콘텐츠를 통해 건강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경북대
건양대병원의 2021년도 레지던트 1년차 모집 결과 내과와 병리과를 제외한 모든 과들이 정원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양대병원은 2일 2021년도 레지던트 지원현황을 발표했다. 내과 6명 정원에 5명이 지원해 1명 모자라고, 병리과는 1명 정원에 아무도 지원하지 않았다. 성형외과, 외과, 재활의학과는 1명씩 초과했다.
강북삼성병원의 2021년도 레지던트 1년차 모집 결과 영상의학과, 직업환경의학과, 피부과 정원이 2명임에도 3명이 더 많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국대병원은 2일 2021년도 레지던트 지원현황을 발표했다. 병리과, 비뇨의학과, 핵의학과를 제외하고는 모든 과가 채워졌다. 소아청소년과도 정원 2명이 다 채워졌다. 정원이 2명인 산부인과와 이비인후과는 1명 초과했다.
건국대병원의 2021년도 레지던트 1년차 모집 결과 병리과,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에 지원한 전공의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국대병원은 2일 2021년도 레지던트 지원현황을 발표했다.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신경외과, 이비인후과 등은 정원에 맞게 채워졌다. 내과는 정원 7명이 모두 채워졌다. 마취통증의학과, 안과,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피부과는 정원보다 넘게 지원했다. 가정의학과와 외과는 정원보다 1명 모자라게 지원했고, 응급의학과는 2명 모자라다.
강원대병원의 2021년도 레지던트 1년차 모집 결과 유일하게 이비인후과만 정원 초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1명 정원에 2명이 지원했다. 강원대병원은 2일 2021년도 레지던트 지원현황을 발표했다. 마취통증의학과, 산부인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등은 정원에 맞게 채워졌다. 가정의학과, 내과, 신경과, 응급의학과는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흉부외과는 1명 정원에 아무도 지원하지 않았다.
가천대 길병원의 2021년도 레지던트 1년차 모집 결과 정원 미달인 과가 9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천대 길병원은 2일 2021년도 레지던트 지원현황을 발표했다. 내과, 마취통증의학과, 이비인후과 등은 정원에 맞게 채워졌다. 영상의학과, 외과, 정형외과, 피부과 등은 정원보다 넘게 지원했다. 특히 정원 2명의 영상의학과는 4명이 지원했고, 4명 정원의 정형외과는 7명이 지원했다. 반면 가정의학과,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에 지원한 레지던트는 없었다.
삼성서울병원의 2021년도 레지던트 1년차 모집 결과 소아청소년과만 유일하게 정원이 미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은 2일 2021년도 레지던트 지원현황을 발표했다. 가정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산부인과, 응급의학과 등은 정원에 맞게 채워졌다. 내과, 병리과, 성형외과, 영상의학과, 외과, 정형외과 등은 정원보다 넘게 지원했다. 정원 대비 가장 많이 지원한 곳은 경쟁률 2.25%를 보인 정형외과였다. 4명 정원에 9명이 지원했다. 하지만 이 중 소아청소년과만 정원에서 미달됐다. 소아청소년과 정원 8명 중 3명만 지원해 0.38%의 지원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