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연구소는 오는 4월 5일 연구동 2층 스칸디아홀에서 ‘코로나19 임상연구의 다학제적 접근’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이번 심포지엄은 국내 건강보험자료를 활용한 역학 연구, 소아와 성인 코로나19(SAR-CoV-2)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 의료진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등 여러 집단을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세부내용으로는 ▲이경신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임상연구센터 연구원의 ‘델타 및 오미크론 시기 코로나19 성인환자의 위중증 발생과 기저질환과의 관계’ ▲김민경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내과 전문의의 ‘오미크론 변이에도 팍스로비드는 과연 효과적인가?’ 주제로 진행된다. 또한, ▲최윤영 국립중앙의료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연구 결과와 교훈’ ▲이소희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코로나19 보건의료종사자의 건강관련 심층면접 및 델파이 연구’ 등에 대한 섹션도 진행된다.
서울아산병원은 환자들이 더욱 표준화된 최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췌장암 ▲구강암 ▲유방암 ▲위암 ▲골전이환자관리 등 5개 질환에 대한 진료가이드라인을 추가 구축해 임상 현장에 적용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아산병원은 어느 진료과에서 어떤 의료진에게 치료를 받든 일관된 최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표준화된 치료 지침을 만들어 적용하고 있는데, 최근 대상 질환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중증 환자를 치료할 때 다학제를 기반으로 의료진간 합의된 치료법이 있지만 의사 개인의 경험이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밖에 없었는데, 담당 의사와 상관없이 환자가 체계적으로 항상 표준화된 최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기관 자체적으로 다학제 진료가이드라인을 정립한 것이다. 각 임상진료가이드라인에는 질환별 병기 정의, 병기별 진단 및 치료법과 세부 원칙 등이 자세하게 규정돼 있다. 이번에 가이드라인을 구축한 분야는 다학제 질환, 의료진 간 진료 변이가 많은 질환, 다빈도 질환이다. 진료 현장에서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제작돼 관련 전문의, 간호사, 수련 과정의 학생 등 모든 의료진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아산병원은 2019년 10월부터 임상진료가이드라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