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정승용) 다학제 연구팀이 갑상선 수술 중 후두신경을 보존하기 위한 최적의 마취조건을 규명한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을 통해 매 2년마다 발표하는 한국인의 암 발생률 통계에 따르면, 갑상선암은 한국인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으로, 여성에서는 유방암에 이어 두 번째, 남성에서는 여섯 번째로 흔한 암이다. 이에 갑상선 수술 건 수 또한 지속 증가해 왔으며, 수술 빈도 증가에 따라 합병증 역시 증가했고, 갑상선 수술 후 합병증은 갑상선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이다. 특히, 수술 중 후두신경 손상은 목소리를 변성시키고, 음식물을 삼키는 데 장애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수술 합병증으로, 발생 빈도는 약 5%에 이른다. 이에 갑상선 수술 중 후두신경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후두신경감시술(intraoperative neuromonitoring, IONM)이다. 후두신경감시술의 후두신경 손상 예방 효과는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 확인되며 현재 유럽과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성공적인 신경감시술을 위한
충남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과장 박용호) 강영애 언어치료사의 갑상선 수술 후 양측성 성대마비 환자의 음성치료 사례 논문이 국내학술지인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33권’ 1호에 게재됐다.강영애 언어치료사의 논문은 갑상선 수술 후 양측성 성대마비로 기관절개술을 받고 기도 확보 후 기관치료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후두과긴장이 고착화돼 양측성 성대마비를 보인 환자에게 행동치료인 음성치료를 우선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치료선택의 실마리와 성공적 음성치료 회기를 소개했다. 갑상선 수술로 환자의 건강과 신체, 정신적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며, 수술 후 겪는 후유증은 갑상선 수술 후 증후군(post-thyroidectomy syndrome)이란 용어를 사용해 신경손상 없는 경부 불편감, 감각장애, 고음 불가에서부터 반회후두신경 및 상후두신경 같은 신경손상으로 인한 성대마비까지를 포함한다. 과거에는 갑상선 수술 후 성대마비가 6~12개월까지 자연회복 기다림이 원칙이었으나, 최근 발표된 지침서에 따르면 갑상선 수술 후 양측성 성대마비인 경우, 기도 확보가 된 후에 적극적인 음성개선 치료에 집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강영애 언어치료사는“논문이 갑상선 수술 후 양